국회 정보위서 첫 언급
25일 연포비행장서 발사한 미사일… 1월 열병식때 공개한 KN-23 개량형
軍, 요격회피 ‘변칙 기동’ 포착 못해… “北발사 상황 불완전 탐지” 지적 나와
북한이 25일 함경남도 함주군 연포비행장에서 발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에 소형 핵무기 탑재가 가능하다고 국가정보원이 29일 밝혔다. 북한이 1월 열병식에서 공개한 ‘북한판 이스칸데르’(KN-23) 개량형으로 알려진 이 미사일이 요격망을 회피하기 위한 ‘저고도 변칙 기동’을 실제 했는지를 우리 군은 확인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을 겨냥한 직접적인 핵 위협이 될 수 있는 북한의 무기체계 발사 상황을 군이 제대로 탐지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정원은 29일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군사이론적으론 소형 핵무기가 개발돼 있으면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에 탑재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고 야당 간사인 국민의힘 하태경 의원이 전했다. 당국이 북한이 시험 발사한 미사일에 대해 ‘전술핵무기’ 탑재 가능성을 언급한 건 처음이다.
북한은 시험발사 다음 날인 26일 탄두 중량을 2.5t으로 늘렸다고 밝혔다. 군 안팎에선 북한이 기존 1t 안팎이었던 KN-23의 탄두 중량을 북한의 주장처럼 늘렸다면 전술핵무기 탑재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북한 노동신문은 이 미사일이 600km를 날아갔다고 보도했다. 한국 전역이 타격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다. 핵무기 소형화를 계속해온 북한의 기술적 진전 정도에 따라서는 이 미사일이 전술핵 여러 발을 실어 나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다만 하 의원은 이날 “(국정원은 이번 발사에서 실제 핵무기를) 탑재했는지는 모른다고 했다”고 전했다.
또 복수의 군 관계자에 따르면 당초 군에서 파악한 이 미사일의 450km 사거리는 미사일이 하강할 당시 20km 이상 고도에서 마지막으로 포착한 지점의 정보를 토대로 추산한 예측 값이었다. 이번 미사일 발사는 상승 단계부터 탄도미사일 발사를 추적 감시하는 우리 군의 그린파인 레이더에 포착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정점 고도 60km를 찍고 내려온 뒤 이 미사일이 20km 이하 저고도에서 변칙 기동했는지는 지구 곡률(지구가 둥글기 때문에 생기는 각도) 때문에 포착하지 못했다는 것. 이 때문에 한미 당국은 미사일의 탄착 지점도 정확하게 포착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간 KN-23은 한미 요격망을 회피하기 위해 정점 고도에서 하강한 뒤 일정 고도에 이르면 수평 저공비행을 한 뒤 다시 급상승하는 ‘풀업(pull-up)’ 기동을 보여 왔다. 북한은 26일 노동신문에서 “저고도 활공도약형 비행 방식의 변칙적인 궤도 특성 역시 재확증했다”며 풀업 기동이 이뤄졌다고 보도했다.
국정원도 이날 “(애초 군이 추정한 사거리) 450km는 자연 낙하했을 때, 풀업 (기동을) 안 했을 때 추정한 거리”라고 밝혔다고 하 의원이 전했다. 군은 2019년 7월 북한의 KN-23 시험발사 당시에도 최초 약 430km로 추정했던 미사일 비행거리를 다음 날 600km라고 정정했다.
이에 따라 군 당국은 “조선(북한) 동해상 600km 수역의 설정된 목표를 정확히 타격했다”는 북한의 주장이 사실일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관련 내용을 추가 분석 중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