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곡동·내로남불·생태탕·2030…키워드로 돌아본 4·7 재보선

  • 뉴스1
  • 입력 2021년 4월 6일 12시 58분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후보(왼쪽)와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가 5일 오후 서울 강서구 발산역과 등촌역 일대에서 유권자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2021.4.5/뉴스1 © News1 국회사진취재단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후보(왼쪽)와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가 5일 오후 서울 강서구 발산역과 등촌역 일대에서 유권자들에게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2021.4.5/뉴스1 © News1 국회사진취재단
4·7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여야는 특히 대한민국 수도의 행정을 이끌 수장을 뽑는 선거인 데다 ‘대선 전초전’이란 평가를 받는 서울시장 선거를 두고 치열한 공방을 벌이고 있다.

선거 공방전에서 촉발된 키워드는 서울을 넘어 전국에서도 친근한 단어가 됐다. 이 중 일부는 고소·고발로 이어져 보선을 지나 차기 대선까지도 정치권에서 회자할 것으로 보인다.

◇LH 발 부동산 투기

지난 3월 초 LH 전·현직 직원들이 내부 정부를 이용해 3기 신도시 땅에 사전 투기를 한 의혹이 불거지면서 이번 선거 내내 공직자의 부동산 투기 문제가 중심에 섰다.

문재인 대통령과 정부, 더불어민주당은 이번 사태에 대해 연신 고개를 숙이고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을 경질하는 한편 각종 후속 대책을 꺼내들었지만 분노의 민심을 달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급기야 LH 발 투기 사태는 정치권 전반의 ‘부동산 투기 의혹’으로 확전됐다. 사실관계가 불분명한 여야 의원들의 온갖 부동산 의혹이 수면 위에 올랐다.

◇내로남불

특히 선거 막바지 여권 인사들의 ‘내로남불’식 임대료 인상 문제가 불거지면서 여론이 크게 악화했다.

지난해 7월 전월세 갱신시 인상률을 5%로 제한하는 등의 ‘임대차3법’을 주도했던 박주민 민주당 의원은 임대차3법 국회 통과 직전 아파트 임대료를 9% 올렸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김상조 전 청와대 정책실장은 역시 임대차3법 국회 통과 전에 전셋값을 14% 인상한 사실이 알려지며 즉각 경질됐다.

‘내로남불’이 민주당을 공격하는 주요 표현으로 굳어지다 보니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투표 독려 현수막 등 선거운동이 아닌 행위에 이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투표가 내로남불을 이깁니다’ 같은 문구로 투표를 독려하는 것은 특정 정당을 유추할 수 있어 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라는 이유다.

◇내곡동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내곡동은 전국적으로 친숙한 지명으로 떠올랐다.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 아내와 처가에서 소유한 토지가 오 후보의 서울시장 재임 시절 그린벨트에서 해제되면서 36억5000만원의 보상금을 오 후보가 받게 됐다는 ‘셀프보상’ 논란으로 시작됐다.

여권의 의혹 제기에 오 후보는 “전혀 몰랐다”고 해명했지만, 2000년 국회의원 시절 재산신고 한 사실 등이 밝혀지면서 또 다른 의혹으로 이어졌다. 오 후보 측은 내곡동 땅 투기 의혹의 본질은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는지 여부이며, 여권의 의혹제기를 ‘네거티브’로 규정, “본질이 아니다”고 반박하고 있다.

◇‘생태탕’과 ‘페라가모’

내곡동 논란은 뜬금없게도 생태탕과 명품 브랜드 페라가모 홍보로 이어졌다. 2005년 6월 내곡동 땅 측량을 마친 후 오 후보가 내곡동 인근 생태탕집에 들렸다는 증언 때문이다. 증언은 생태탕 식당 주인과 그의 아들이 직접 언론에서 밝혔다.

생태탕 사장과 그의 아들은 오 후보 목격담을 전하면서 “반듯하게 하얀 면바지에 신발이 캐주얼 로퍼. 상당히 멋진 구두였다. 페라가모”라고 오 후보 옷차림을 묘사했다.

이 주장을 근거로 민주당은 오 후보가 일찌감치 땅의 존재를 알았으며, 지금까지 거짓 주장을 해온 만큼 후보직에서 사퇴해야 한다고 공세를 펼쳤다. 오 후보는 이 주장이 사실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5일 기자회견을 예고했던 생태집 사장 아들은 돌연 기자회견을 취소해 논란이 됐다.


◇MB

구속 수감 중인 MB(이명박 전 대통령)도 등장했다. 오 후보는 재건축·재개발 중심의 부동산 정책을 내놓고 있는데 이를 두고 박 후보는 MB 시즌2라고 비판했다. 오 후보가 국밥을 먹는 사진을 두고는 MB아바타라는 비판도 했다. 공교롭게도 오 후보는 MB 아바타라는 발언으로 지지율 하락을 경험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와 단일화에 성공했다.

이에 대해 오 후보는 박원순 시즌2라고 박 후보를 견제했다. 동시에 문재인의 아바타라며 공격했다. 부동산 문제 등으로 인해 수도권 민심이 ‘정권심판론’으로 흐른다는 판단아래, 박 후보를 겨냥한 것이다.

◇2030

박 후보와 오 후보는 최대 승부처인 2030세대에 초점을 맞췄다. 유세 현장에서도 청년층 지지유세 경쟁에 불이 붙었다.

특히 오 후보 측 유세 현장의 경우 하루 평균 20명 정도의 2030 유권자들이 현장에서 목소리를 키우고 있다.

문재인 정부 들어 잇따라 불거진 ‘불공정’ 논란과 부동산·교육 격차 문제 등으로 인해 2030세대의 정부·여당에 대한 분노가 높아진 데 따른 변화로 풀이되고 있다.

오 후보는 유세현장에서 “이렇게 2030 청년층의 지지를 받기 시작했다는 건 저로서는 꿈만 같은 일이라는 생각이 든다”며 감격해 했다.

내년 대선까지 고려하면 야당은 이번을 기회 삼아 정권 교체를, 여당은 어떻게든 이들을 다시 되돌려 정권재창출을 이뤄내야 한다.

과거 민주당 계열 정당에 우호적이었던 2030세대의 달라진 표심은 재보선은 물론 내년 대선에서까지 주요 변수로 부상할 공산이 커졌다.

박 후보가 청년 교통비 지원과 데이터바우처 제공 등 청년 공약에 부쩍 공을 들이고 유세 동선 역시 청년들이 많이 모이는 지역에 집중하는 등 과거와는 다른 강도로 청년층 구애를 벌였다.


◇피해호소인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과 오거돈 전 부산시장의 책임론도 번졌다. 지난 3월 17일 박 전 시장 성추행 피해자가 기자회견을 갖고 민주당 인사들을 비판했다. 당일 입장 표명에 신중했던 박영선 후보는 그날 저녁 페이스북을 통해 사죄의 뜻을 밝혔다.

그럼에도 이후 민주당에서 임종석 전 대통령비서실장 등이 박 전 시장을 감싸는 듯한 페이스북 글을 올려 논란이 재차 불거졌다.

과거 박 전 시장 성추행 피해자를 ‘피해호소인’으로 불렀던 남인순·진선미·고민정 의원이 박영선 캠프 직책을 맡은 점 또한 야당 공세의 빌미가 됐다.

악화한 여론에 이들은 캠프 직책을 내려놨지만 여당은 한동안 야당의 ‘피해호소인’ 공세에 시달려야 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1

추천 많은 댓글

  • 2021-04-06 13:51:35

    성추행 민주당 떨거지 놈들은 이미 다 끝났다! 너거들은 애초부터 이번 선거에 후보를 낸 것부터가 잘못되었다. 박원순 오거돈 너거 민주당놈들의 성추행때문에 치루는 이번 선거에 후보를 내지 말았어야지 옳았다. 이제와서 후회해봐야 늦었다. 잘 가거라, 성추행 민주당 놈들아!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