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 재보궐선거의 ‘캐스팅보터’로 떠오른 2030 청년층이 내년도 20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당락을 좌우하는 핵심 유권자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6일 정치권에 따르면 여야는 4·7 재보궐선거를 하루 앞두고 2030 유권자의 표심을 사로잡기 위한 ‘막판 선거전’에 돌입했다.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이날 이낙연 상임선대위원장, 김태년 당대표 직무대행과 함께 서울 마포구 홍대 상상마당에서 ‘집중 유세’에 나선다.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도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 주호영 원내대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로 꾸려진 ‘빅텐트 지도부’와 신촌역에서 ‘피날레 유세전’을 연다.
여야가 2030세대에 집중하는 까닭은 ‘청춘 표심’이 판세에 미치는 영향력 때문이다. 이번 재보궐선거의 총 유권자 중에서 2030세대 비중은 32.7%다. LH 사태로 정부·여당에 등을 돌린 계층도 2030세대에서 두드러졌다. 여당은 떠난 표심을 붙잡기 위해, 야당은 새로 유입된 지지율에 쐐기를 박기 위해 앞다퉈 ‘청년 구애’를 펼치는 형국이다.
일명 ‘밀레니얼Z’(MZ)세대로 불리는 2030대는 보수와 진보 어디에도 기울지 않는 스윙보터‘로 꼽힌다. 이념이 아닌 ’이익‘에 따라 표를 던지기 때문에 후보와 정당에 대한 지지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배종찬 인사이트케이 소장은 “2030세대, 특히 20대 유권자는 탈이념적인 성격을 가진 부동층 성격이 뚜렷하다”며 “현재 여야 후보의 지지율은 정당지지도에 기초한 것이 아니라 대통령의 국정수행평가를 기준에 둔 것”이라고 분석했다. 현 정부에 실망한 ’분노 심리‘가 야당 후보에 쏠렸지만, 국민의힘까지 반사이익을 봤다고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 여론조사기관 엠브레인퍼블릭이 뉴스1 의뢰로 지난달 30~31일 서울시 유권자 1006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오 후보에 대한 연령별 지지율은 20대 37.2%, 30대 44.7%로 박 후보(20대 19.3%·30대 32.9%)보다 최대 17.9%p 높았다. 반면 정당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이 20대 21.4%, 30대 32.9%로 국민의힘(20대 21.1%p, 30대 23.8%)보다 높았다.
배 소장은 2030세대가 4·7 재보궐선거에서 야당 후보의 손을 들어주더라도, 내년 대선 정국에서는 여전히 ’중간지대‘로 남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그는 “2030세대는 이익에 따라 변동하기 때문에 정당이 아닌 후보 개인과 정책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라며 “어느 후보가 어떤 공약을 내세우는지, 어느 정당이 자신들에게 유리한 정책 선보이는지에 따라 젊은 층의 표심이 움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댓글 4
추천 많은 댓글
2021-04-06 15:29:46
성추행 민주당 떨거지 놈들은 이미 다 끝났다! 너거들은 애초부터 이번 선거에 후보를 낸 것부터가 잘못되었다. 박원순 오거돈 너거 민주당놈들의 성추행때문에 치루는 이번 선거에 후보를 내지 말았어야지 옳았다. 이제와서 후회해봐야 늦었다. 잘 가거라, 성추행 민주당 놈들아!
2021-04-06 14:21:52
청년 住食비 통신비 10여만원 쓸돈 많고, 일자리 없고. 재난지원금 실업급여 몇푼, 세금 미래 주인에게 빚 얻어다 주면서. 2021.4.7.보궐금권부정선거범에 강도인가? 문재인 시장 도지사 군수들 돈 마구뿌려, 아기 학생 청년에게 빚쟁이 되었구나 天罰에 처 죽일 놈들.
2021-04-06 14:21:22
1당독재 서울시와 선관위 공무원들 전공노 소속이고 서울시장 대행 박원순 꼬붕 1명 빼고 24명 전라도 구청장이고 시 구 의원 92% 101명에 8명빼고 국회의원 41명 더불어민주당 4.7보궐선거 공정하게 할 수 있겠는가? 중앙선거관리위원장 문재인의 대법관 노정희 답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