秋, 논란에 반박글…"비하인지 팩트체크해보자"
이상민 "다른 사람에 상처…시정하고 사과하길"
장혜영 "'표현 부적절했다' 한 마디면 끝날 일"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의 ‘외눈’ 표현 논란이 격화하고 있다. 추 전 장관이 26일 장애인 비하 논란이 인 것에 “왜곡”이라고 반박하자 더불어민주당 이상민·정의당 장혜영 의원은 “명백한 장애인 비하”라고 사과를 촉구했다.
논란의 시작은 추 전 장관이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을 옹호하기 위해 올린 페이스북 글이었다. 추 전 장관은 “자유로운 편집권을 누리지 못하고 외눈으로 보도하는 언론들이 시민 외에 눈치 볼 필요가 없이 양눈으로 보도하는 뉴스공장을 타박하는 것은 잘못”이라는 글을 올렸다.
이를 두고 장혜영 의원은 페이스북에 ‘외눈’ 표현에 대해 “명백한 장애 비하 발언”이라며 “해당 표현에 대한 즉각적인 수정과 진정성 있는 사과를 요구한다”고 촉구했다.
이상민 의원도 가세해 “적절한 지적이고 이에 동의한다”고 동조했다.
이 의원은 “누구든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다른 사람에 대해 함부로 차별적이거나 혐오적 언동을 해서는 안 된다. 그런데도 차별하고 심지어 혐오하고 조롱하고, 배제하는 반인륜적 행태가 여전하다”며 차별금지법 발의를 서두르겠다고 밝혔다.
‘외눈’ 논란이 이어지자 추 전 장관은 이날 페이스북에 “오독하고 왜곡한 데 대해 심심한 유감을 표하지 않을 수 없다”고 정면 반박에 나섰다.
추 전 장관은 “제가 정말 ‘장애인 비하’ 표현을 쓴 것인지 팩트체크해 볼까요?”라며 국어사전에서 ‘외눈’의 정의를 적고 “접두사 ‘외-’는 ‘혼자인’의 뜻도 있지만 ‘한쪽으로 치우친’이란 뜻도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외눈만 쌍커풀이 있다’ ‘외눈으로 목표물을 겨누다’는 표현에서 ‘외눈’은 시각 장애인을 지칭한 게 아니며 장애인 비하는 더더욱 아니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러면서 “저는 진실에는 눈감고 기득권과 유착되어 ‘외눈으로 보도하는 언론’의 편향성을 지적했다”면서 “장 의원과 이 의원은 문맥을 오독하여 제 뜻을 왜곡한 것이다.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추 전 장관의 반박에 이 의원과 장 의원은 다시 한번 “명백한 장애인 비하”라고 맞받았다.
이 의원은 다시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대꾸할 가치가 있나 싶었지만 다음과 같이 애써 몇 가지 말씀을 드리지 않을 수 없다”며 “첫째, ‘외눈’이 국어사전에 있음을 근거로 비하 표현이 아니라 했는데 그러면 ‘절름발이’, ‘난장이’ 등도 국어사전에 있는데 그렇게 표현하는 것은 어떻게 설명해야 하나”라고 반문했다.
이어 “비하, 차별, 혐오이냐 아니냐의 판단 기준은 상대방이 어떻게 받아들이냐다. 성희롱의 판단 기준이 상대방 감정에 달려있는 것과 같은 이치”라며 “추 전 장관은 표현한 그런 상태에 있는 사람이 느낄 감정을 생각해봤나. 차별금지법을 앞장서 주장했다는데 그냥 정치적 장식용으로 외치기만 하지 말고 그 내용도 함께 공부할 것을 권한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언론의 편향성이란 부정적 의미에 외눈을 빗대어 표현한 것이므로 명백히 비하한 것이고 차별적 언동”이라며 “잘못을 지적받았는데도 계속 억지 주장을 하는 건 옹고집일 뿐 지혜롭지 않다. 그런 언동은 자신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도 상처를 입히는 일이다. 얼른 시정하고 사과하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장 의원 역시 페이스북에 “‘외눈’이라는 단어의 사전적 의미가 중요한 게 아니라 ‘외눈’이라는 단어를 ‘양눈’보다 가치가 덜한 것, 편향적인 것을 비유하는 표현으로 사용하신 점에서 그렇다”며 “추 전 장관님의 글에서 ‘외눈’이라는 단어는 사전적 의미가 아니라 정상성의 기준으로 제시된 ‘양눈’이라는 표현에 대비돼 비정상성의 비유로 사용됐다”고 지적했다.
장 의원은 “다시 한번 요청드린다. 추 전 장관님께서 정치적 견해를 공개적으로 표현하는 과정에 사용하신 장애 비하 표현에 대해 성찰하고 진정성있게 국민 앞에 사과하라”며 “‘내 표현이 적절치 못했다’ 그 한 마디면 끝날 일”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