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올해 초 구상한 남북 ‘비대면 회담’을 실현하기 위해 통일부가 4억원을 들여 영상회의실을 마련했다. 통일부는 남북 대면회담 상황을 고려해 ‘안심 대면회담’ 운영 방안도 함께 내놨다.
통일부는 26일 종로구 남북회담본부 회담장 3층 대회의실에 영상회의실 구축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 속 남북간 회담 일정이 잡힐 경우 ‘영상회담’을 적극 이용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통일부 당국자는 기자들과 만나 “영상회담 운영은 대면회담과 큰 차이가 없다”면서 “만약 합의서를 작성해야 하는 상황이 오면 양측이 서명 후 팩스로 전달한다”고 설명했다.
이 당국자는 “남북이 영상회의에 동의하면 기술적 협의와 사전점검을 진행해야 한다”며 “회담 2~4일전엔 음성과 영상을 확인하고 당일엔 시스템을 개통하는 방식으로 협의하고자 한다”고 언급했다.
이 당국자는 북한 측의 영상 기술과 관련해선 “북한 내부적으로 영상회의를 하는 동향이 포착되고 있다”며 “북한도 기술적인 부분과 경험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영상이 유출될 수도 있다는 보안문제에 대해선 “남북간 직통전화 통신선은 1대1 전용선이기에 다른 곳으로 빠져나갈 수 있는건 근본적으로 차단돼 있다”며 “보안당국과 실무적 점검도 했다”고 대답했다.
아울러 ‘영상회담의 경우 비공식 논의를 통한 합의가 힘들어질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이 당국자는 “과거 그러한 방식의 합의가 이뤄진 것은 사실이지만 바람직한지에 대해선 이견이 있다”며 “비공식 접촉이 필요하다면 영상회담하면서도 다른 방안을 찾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통일부는 영상회담 뿐 아니라 ‘안심 대면회담’ 운영 방식도 3가지 시나리오로 나눠 준비했다. 판문점에서 남북이 분리돼 회의를 진행하는 ‘완전 비접촉 회담’과 북측이 평화의집을 찾는 ‘접촉 최소화 회담’, 남측이 금강산 등을 찾아가는 ‘방역 안심존 회담’ 등이 소개됐다.
다만 통일부 당국자는 “우리 측의 수준을 보여주면 북측이 방역 상황을 고려해서 답할 거라는 상황을 가정해 준비했다”며 “실제로 남북간 회담 여건이 조성되면 구체적 방안은 상호 협의를 통해 (변경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영상회담실 설비엔 고화질 카메라 6대와 98인치 LCD 모니터 4개와 영상회의 전용 코덱 등 총 4억원의 소요가 발생한 것으로 전해졌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