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金총리에 ‘한미 백신 파트너십’ 후속조치 지시

  • 뉴시스
  • 입력 2021년 5월 24일 18시 39분


金총리 "범부처TF 구성·운영 등 후속 조치 할 것"

문재인 대통령은 24일 김부겸 국무총리와 한미 정상회담 성과를 공유하고, 글로벌 백신 허브화 전략 추진 등 후속 조치를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 본관에서 김 총리와 주례회동을 갖고, 이번 방미에 대해 “최고의 순방이었고, 백신·안보·경제 등 모든 면에서 최고의 회담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한미 글로벌 백신 포괄적 파트너십 ▲미사일 지침 종료 ▲미국 주도의 글로벌 공급망 포함을 통한 소재·장비 관련 기업 활성화 등을 주요 성과로 강조했다.

이에 김 총리는 “이번 회담은 당초 기대를 뛰어넘는 성공적인 회담이었다”라며 “경제계를 중심으로 글로벌 백신 허브화, 반도체 등 전략산업 협력 확대에 대한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한미 글로벌 백신 포괄적 파트너십’을 계기로 백신 허브로서 위상이 강화됐다며, 전달체·합성 항원·mRNA(메신저 리보핵산) 등 다양한 플랫폼의 백신을 생산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하게 된 데 대해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미 글로벌 백신 포괄적 파트너십이 조기에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총리를 중심으로 관계부처가 차질 없이 후속 조치를 추진하라”고 지시했다.

아울러 “이 과정에서 민간기업과 전문 연구기관의 역할이 막중하다”며 “후속 조치 추진과정에서 정부가 민간과도 긴밀히 협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김 총리는 “방미 성과가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도록 내각이 합심해서 범부처 TF(태스크포스) 구성·운영 및 기업지원 방안 마련 등 후속 조치를 해나가겠다”고 답했다.

한편 김 총리는 지난 주말 개최된 ‘국무위원 워크숍’ 결과를 문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김 총리는 “이번 워크숍에서는 문재인 정부 지난 4년간의 성과를 돌아보고, 앞으로 1년 동안 추진할 주요 정책과 그 추진 전략, 국민 체감도를 높이는 소통방안 등에 대해 주로 논의했다”고 말했다.

김 총리는 “각 부처가 현장 중심 행정과 정부 대책의 실천력을 높이는 방안을 집중적으로 토의했다”며, 워크숍 결과가 현장에서 실천되도록 ▲고위 공직자 대상 특별교육 ▲효과적인 온라인 소통 방안 마련 등 후속 조치를 해나가겠다고 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