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문점서 ‘칸막이로 비접촉’ 대면회담 가능성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7월 29일 03시 00분


[남북 통신선 복원 이후]정부, 남북 고위급회담 준비 착수

남북이 단절됐던 통신을 재개하면서 정부는 다음 수순으로 고위급 회담 준비에 착수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화상 회담 가능성이 높아졌지만 정부는 내부적으로 대면과 화상 두 가지 경우를 모두 준비하고 나섰다.

정부 당국자는 28일 “화상 회담의 경우 우리 측 준비는 2, 3개월 전 이미 끝났다”며 “북한과 조율만 되면 언제든지 바로 진행 가능하다”고 말했다. 통일부는 서울 종로구 남북회담본부 회담장 3층 대회의실에 4억 원을 들여 방역 시설을 갖춘 영상회의실 구축을 완료했다.

남북이 화상 회담에 합의하면 △기술적 협의 및 사전점검 △음성 및 영상 확인 △시스템 개통 등 절차를 거쳐 회담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 외교 소식통은 “북한의 통신 인프라도 걱정할 수준이 아니다”라며 “북한도 화상 회담을 할 수 있는 기술과 경험을 갖고 있어 기술적 문제는 고려 사항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영상 송출 및 수신 등 호환성만 확보되면 연결에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남북 인사들이 직접 만나는 대면 회담 역시 통일부는 장소별 내부 시나리오를 마련한 상황이다. 통일부는 우선 판문점에서 남북 인사가 철저히 분리돼 회의하는 ‘완전 비접촉 회담’을 판문점 중립국감독위원회 회의실에서 진행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중립 지역 내 남북 간 출입 동선을 분리하고, 남북 측 구역을 나눠 중앙에 대형 아크릴 칸막이 설치 등의 방식으로 철저한 방역 조치를 한다는 게 특징이다.

두 번째는 ‘접촉 최소화 회담’으로 우리 측 평화의집에 북한 측이 방문하는 방안이다. 2018년 4월 남북 정상이 만났던 평화의집은 공간이 넓어 양측의 동선 분리 운영이 가능하다. 회의 테이블을 분리 배치하고, 회담장·복도 등 구역을 남북 측이 분할 운영하는 방식으로 방역에 초점을 맞춘다.

정부는 북한의 금강산 등 북한 땅에서 회담이 열리는 경우도 준비하고 있다. 회담은 지정된 인원만 출입 가능한 제한구역에서 진행한다. 실무진은 2, 3일 전부터 지정 장소에서 매일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받아야 한다. 정부 관계자는 “세 가지 경우를 준비하고 있지만 판문점이 남북 모두 크게 부담스럽지 않다”며 “방역 관리도 가장 쉬워 1순위 회담 장소인 게 사실”이라고 밝혔다.

#판문점#칸막이로 비접촉#대면회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