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제73주년 국군의 날인 1일 또 다시 종전선언을 강조한 가운데, 이 발언이 시기적으로 적절한 지를 놓고 논란이 인다. 최근 북미간 ‘신경전’ 양상이 펼쳐지고 있고, 한미는 북한 사안에 대한 ‘엇박자’ 행보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서다.
문 대통령은 이날 해병대 제1사단 인근 경북 포항시 영일만에서 열린 국군의 날 기념식에 참석, 기념사를 통해 “나는 우리 군을 신뢰한다. 나는 우리의 든든한 안보태세에 자부심을 갖고 있다”며 “이러한 신뢰와 자부심을 바탕으로 나는 한반도 종전선언과 화해와 협력의 새로운 시대를 국제사회에 제안했다”고 밝혔다.
다만 문 대통령은 이날 ‘북한’이라는 용어는 사용하지 않았다. 이에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달 21일(현지시간) 제76차 유엔총회에서 종전선언 카드를 재차 꺼내들며 ‘남북미 또는 남북미중’으로 주체를 명확히 한 바 있다.
이와 관련 북한은 ‘김정은·김여정 메시지’를 통해 ‘흥미롭다’는 반응과 ‘선(先) 이중잣대·적대정책 철회’라는 조건을 내걸었다. 특히 북한은 9월 한 달 새 미사일 시험발사를 4번이나 실시하며 ‘강온양면 전략’을 하고 있는 모양새다.
일련의 상황을 두고 종전선언이 추진될 상황이 아니라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북한도 종전선언의 필요성에는 공감하고 있지만 북측이 조건을 내거는 것도 사실상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또한 북한은 무력시위를 전개하고 있고 이로 인해 우리는 ‘대화와 외교를 통한 해결’ 입장을 견지하면서도 동시에 북한의 추가 미사일 발사 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도 한미간 공조 차원에서 북핵 수석대표 협의 등을 통해 ‘긴밀한 협의’를 강조하고 있지만,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 위반임을 지적하며 대북 경고 수위를 높이고 있는 모양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부 장관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기자들과 만나 “우리는 거듭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안 위반으로 역내 불안정과 불안감을 초래하는 북한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이는 김 총비서가 지난달 29일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을 통해 미국을 향해 “더 교활해지고 있다”며 바이든 행정부의 ‘외교적 관여’와 ‘전제조건 없는 대화’를 비난한 다음에 나온 발언이라 ‘북미간 신경전’ 측면도 있다는 분석이다.
미국은 북한이 ‘극초음속 미사일’이라고 주장하는 ‘화성-8형’ 시험발사에 대해 영국, 프랑스와 함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 소집을 요청하기도 했다. 해당 회의는 지난달 30일 열릴 예정이었으나, ‘북한의 뒷배’이자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의 요청으로 하루 연기됐다.
우리 측에서는 미국과 보폭이 맞지 않는 모습도 연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정의용 외교부 장관의 ‘대북제재 완화 주장’을 대표적인 예로들 수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