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현재 군에선 SCR이 장착된 민수용 디젤 차량도 도입·운용하고 있기 때문에 연료인 경유뿐만 아니라 요소수도 따로 구비해 비축해놓고 있는 상태다.
군 당국의 요소수 비축분의 구체적인 양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최소 수개월분은 된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 부승찬 국방부 대변인은 지난 4일 브리핑에서 “국방부는 충분한 요소수를 비축하고 있어 임무 수행에 있어 지장이 없다”고 답한 적이 있다.
군 당국은 요소수 비축분 확인 작업이 끝나는 대로 군의 임무수행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민간에 지원할 수 있는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를 산출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군이 비축한 요소수 가운데 최대 20만ℓ(약 200톤) 정도가 민간에 공급될 가능성이 있단 관측이 나오고 있다.
이와 함께 군 당국은 정부가 이번 주 중 요소수 2만ℓ(약 20톤)를 호주로부터 수입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이를 위해 공군 수송기를 투입하는 방안도 외교부 등 관계부처 및 호주 당국과 협의 중이다.
정부는 앞서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에서 호주산 요소수의 “신속한 수송을 위해 군 수송기를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군 안팎에선 호주산 요소수 긴급 수송에 공군 수송기가 투입될 경우 다목적 공중급유 수송기 KC-330 ‘시그너스’가 이용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KC-330은 유럽 ‘에어버스’사의 여객기 A330을 개조해 만든 공중급유기로서 우리 공군은 총 4대를 운용 중이다. KC-330으로 한 번에 실어 나를 수 있는 화물은 약 47톤, 사람 수는 300여명이다.
공군은 KC-330 외에도 C-130J ‘슈퍼허큘리스’ 수송기를 운용하고 있지만, C-130J의 최대 항속거리가 약 5250㎞인 데 반해 KC-330은 약 1만5320㎞여서 중간 급유 없이 호주까지 갈 수 있다.
KC-330은 그동안 국외 재해·재난 발생시 현지 체류 국민의 국내 이송과 해외파병부대 화물·병력 수송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해왔다.
특히 올 들어선 7월 해외파병 중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집단 발병한 청해부대 제14진 장병들의 국내 이송(오아시스 작전)과 8월 여천 홍범도 장군 유해 국내 봉환, 그리고 이슬람 무장세력 탈레반의 아프가니스탄 장악으로 신변이 위태로워진 현지인 조력자들을 국내로 데려오는 임무(미라클 작전)에 KC-330이 투입됐다.
정부는 이번 호주산 요소수 수송에 이어 필요시 추가로 군 수송기를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