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외무성, 평양 주재 각국 대사관에 물자 수입 주문 요청”

  • 뉴스1
  • 입력 2021년 11월 12일 09시 29분


북한 당국이 평양 주재 외교관들에게 해외물자 수입을 준비토록 요청했다는 보도가 나와 주목된다.

북한전문매체 NK뉴스는 11일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 북한 외무성이 지난달 말 평양 주재 각국 대사관에 ‘소비재·의약품·부품 등의 외국산 물품 주문서를 보내 달라’고 통지했다고 전했다.

북한 당국은 중국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전 세계로 확산되던 비상방역 조치의 일환으로 작년 1월 말 북중 접경지를 통한 주민 왕래와 외국인 입국을 전면 차단하고, 중국·러시아를 오가는 항공편 및 국제열차 운행을 원칙적으로 중단했다. 이 때문에 북중 간 교역량도 급감했었다.

이 과정에서 북한 주재 각국 공관원과 국제기구 직원들도 대부분 철수, 현재 평양엔 중국·러시아·쿠바·이집트·라오스·몽골·팔레스타인·시리아·베트남 등 9개국 대사관 직원 일부만 남아 있는 상황이다.

중국 해관총서(관세청에 해당)에 따르면 올 하반기 들어 중국 랴오닝성 다롄과 북한 남포항 간의 해상운송을 중심으로 북중 교역량이 증가세로 돌아서긴 했지만, 아직 코로나19 유행 이전 수준으론 회복되지 않은 상태다.

다만 대북 관측통들은 최근 평안북도 신의주와 중국 랴오닝성 단둥 간 정기 화물열차 운행 재개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NK뉴스 보도를 주목하고 있다.

우리 국가정보원도 지난달 28일 국회 정보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북한이 물자 부족이 심각해지자 대외교역 확대를 통한 경제 숨통 틔우기를 모색하고 있다”며 “신의주~단둥 간 열차가 11월 중 운행을 재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자유아시아방송(RFA)은 북중 접경지 소식통을 인용한 지난 10일(현지시간) 보도에서 “단둥 일대에서 코로나19가 다시 확산돼 비상방역이 한층 더 강화됐다”고 전해 현재로선 북중 간 정기 화물열차 운행 등 ‘국경개방’ 시점을 예단할 수 없단 관측도 나온다.

미 존스홉킨스대 집계에 따르면 중국 랴오닝성의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 수는 올 5월 이후 0~2명 수준을 유지하다 이달 초부터 다시 증가세를 보이기 시작해 4일엔 9명, 그리고 10일엔 21명으로 연중 최다치를 기록했다.

트로이 스탠가론 한미경제연구소(KEI) 선임국장은 RFA와의 인터뷰에서 중국 당국이 내년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이른바 ‘제로(0) 코로나19’를 목표로 한 방역 대책을 펴고 있단 점에서 “코로나19 확산세 속에선 북중 국경을 개방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