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와 회동서 오늘 제주행 시사… ‘이준석과 갈등’ 수습 방안 논의한듯
洪, 尹후보와 만찬 여부 질문에 “몽니 부린다는 오해 받기 싫다”
尹, 같은 식당 방문 김종인과 1분 대화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잠행 시위’를 이어가고 있는 이준석 대표를 만나러 3일 제주도로 갈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윤 후보는 대선 경선 이후 연락두절 상태였던 홍준표 의원과 2일 만찬 회동을 하는 등 ‘원팀’ 행보에도 시동을 걸었다. 윤 후보는 이날 홍 의원에게 “이 대표가 머물고 있는 제주도에 3일 갈 의향이 있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윤 후보가 직접 제주도로 내려가 이 대표를 설득할 계획이라는 게 국민의힘 관계자의 전언이다. 윤 후보가 이날 당내 문제에 대한 조언을 듣기 위해 마련한 당 상임고문단과의 오찬 자리에서도 “이 대표를 빨리 모셔오라”는 주문이 많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윤 후보는 이날 오찬 장소에서 선대위 합류를 보류한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장과 지난달 24일 만찬 이후 8일 만에 만나 잠시 대화하기도 했다.
○ “다른 생각 있어도 같이 가야 한다”
윤 후보는 2일 기자들과 만나 이 대표에 대해 “어느 정도 본인도 좀 리프레시(기분 전환)했으면 한다. 나도 막 무리하게 압박하듯이 사실 할 생각은 없었다”고 말했다. 다만 “정권 교체를 위해 서로 다른 생각이 있더라도 함께 가야 한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런 차원에서 이 모든 문제를 대하도록 하겠다”고 해 이 대표와 접촉 가능성을 열어뒀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이 대표가 선대위 인선과 ‘당 대표 패싱’에 불만을 표출한 만큼 윤 후보가 선대위 인선 관련 수정안을 내지 않으면 합의점을 찾기 힘들 것”이라고 했다.
윤 후보는 이날 서울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권해옥 자유총연맹 고문, 신경식 전 헌정회장, 권철현 전 주일대사 등 당 상임고문단 10여 명과 오찬을 하면서는 이 대표의 선대위 활동 거부 사태를 해결하기 위한 조언을 들었다. 신경식 상임고문은 윤 후보에게 “불쾌하고 불편하더라도 꾹 참고 당장 오늘 밤이라도 이 대표가 묵고 있다는 곳에 찾아가라”며 “싫든 좋든 전부 내 편으로 만드는 게 중요하다. (이 대표를) 서울로 끌고 올라오면 내일부터 분위기가 달라질 것”이라고 했다. 반면 권해옥 상임고문은 “말도 안 되는 소리를 하고 있냐”며 “이 대표 행동은 해당 행위로 제명시켜야 한다”고 언성을 높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오찬이 끝난 후 윤 후보는 같은 식당의 다른 방에서 오찬을 하던 김종인 전 위원장과 만나 약 1분간 대화를 나눴다. 김 전 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윤 후보와) 아무 말도 안 했다. (이 대표 잠행 관련은) 전혀 모른다”고 했다.
○ 尹, 洪 만나고 정책 행보 집중
윤 후보는 이날 당 대선 경선에서 경쟁했던 홍 의원과 서울의 한 식당에서 만찬 회동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5일 경선이 끝난 뒤 27일 만의 만남이다. 홍 의원은 그동안 윤 후보의 연락에 응답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날 자신이 만든 청년 정치 플랫폼 ‘청년의꿈’에 올라온 윤 후보와의 만찬 여부 질문에 그는 “몽니 부린다는 오해 받기 싫다”고 글을 남겼다. 윤 후보는 이 자리에서 홍 의원의 선대위 합류를 요청하고 이 대표와 갈등을 수습할 방안도 논의한 것으로 관측된다.
이날 오전 윤 후보는 전날 전기통신관 근로자 3명이 사망한 경기 안양시 도로 포장 사고 현장을 찾았다. 예정에 없던 일정을 통해 최근 중대재해법과 주 52시간, 최저임금 관련 발언으로 인한 논란을 수습하고 ‘약자를 위한 행보’를 강조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윤 후보는 현장을 돌아본 뒤 기자들과 만나 “국가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이 국민 안전을 지키는 일”이라며 “이런 어이없는 사고로 근로 현장에서 목숨을 잃는 것은 정말 있어선 안 될 일”이라고 했다. 하지만 윤 후보가 “간단한 실수 하나가 엄청난 비참한 사고를 초래했다”고 언급해 논란이 일었다.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선대위 대변인은 “굳이 찾아온 사고 현장에서 산업재해의 원인을 오롯이 노동자에게 전가했다”고 비판했다.
윤 후보는 이날 페이스북에서는 “더 많은 임금, 더 적은 근로시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했다. 그는 주 52시간 근무제와 관련해 “주 단위만 고집할 것이 아니라 3개월 단위, 6개월 단위 등으로 탄력적으로 운영해 기업과 근로자가 처한 현실을 잘 반영해야 한다”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