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리고 싶은 말씀과 사정이 있다고 하더라도 국민들께서 느낄 정서 앞에 청와대는 즉시 부응해야 한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1일 아들 입사지원서 논란이 불거진 김진국 대통령민정수석비서관의 사의를 문재인 대통령이 하루 만에 즉각 수용한 배경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김 수석의 아들이 강박장애, 불안장애 등의 증상을 겪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문재인 정부가 강조해 온 ‘공정’ 이슈와 직결되는 청년 취업 문제에 대해선 예외를 둘 수 없다는 의미다. 그러나 김 수석이 9개월 만에 물러나면서 여권 안팎에서는 “임기 내내 ‘민정수석 리스크’가 계속되고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 임기 말 ‘민정수석 리스크’ 차단 총력
전날(20일)만 해도 여권 일각에선 김 수석의 아들 상황을 고려해 문 대통령이 김 수석의 사의를 반려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전재수 의원은 “제 조카가 고등학교 때부터 조현병이라는 정신분열증이 발병해 15년간 삼성병원을 입·퇴원하면서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못 하고 지냈다”는 김 수석 친형의 글을 페이스북에 공유하기도 했다. 더욱이 김 수석은 2005년 노무현 정부 당시 민정수석이었던 문 대통령과 함께 법무비서관으로 호흡을 맞추는 등 인연이 깊었다.
하지만 문 대통령이 이날 즉각 사의를 수용한 건 조국 전 민정수석 때부터 이어져 온 ‘민정수석 리스크’가 임기 말 레임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조 전 수석은 2년 2개월의 임기 동안 부실 인사 검증과 환경부 블랙리스트 논란이 있었고 법무부 장관으로 발탁된 뒤에도 자녀 대학입시 특혜 의혹, 사모펀드 투자 의혹 등이 불거졌다. 이로 인한 ‘조국 사태’는 문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율 하락의 변곡점이 됐고, 여전히 여권의 아킬레스건으로 꼽힌다. 여권 관계자는 “공직 기강을 관리하는 민정수석실에서 이 같은 일이 발생한 것은 그 의미가 더 클 수밖에 없다”며 “‘조국 사태’에서 배웠듯 정리할 건 빨리 정리하고 넘어가야 한다”고 했다.
김 수석은 이날 사의 표명 후 기자들과 만나 “국민을 섬기는 공직자는 적어도 가족과 관련해서도 한 점의 오해나 의혹이 없어야 한다고 생각해 왔다”며 “비록 저는 떠나지만 문재인 정부의 정의와 공정을 향한 의지와 노력은 국민들로부터 온전하게 평가받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 文 정부 민정수석 평균 임기 ‘10개월’
김 수석이 9개월 만에 청와대를 떠나면서 민정수석을 둘러싼 잡음은 5년 임기 내내 이어지는 양상이다. 조 전 수석에 이어 취임한 김조원 전 수석은 ‘청와대 참모 1주택 보유’ 권고에도 2주택을 유지하다가 결국 1년 1개월 만에 경질됐다. 후임인 김종호 전 수석은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과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갈등을 제대로 조율하지 못한 책임을 지고 4개월 만에 물러났으며, 신현수 전 수석은 박범계 법무부 장관과 검찰 고위간부 인사 조율 과정에서 패싱 논란이 일며 2개월 만에 사퇴했다. 한 친문(친문재인) 인사는 “노무현 정부 민정수석을 지낸 문 대통령으로선 참 마음이 아플 것”이라고 했다.
여기에 당장 후임 인선도 문제다. 문 대통령의 임기가 5개월밖에 남지 않은 시점에서 청와대 밖의 인사를 민정수석으로 임명하기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청와대 일각에서는 민정수석실 선임비서관인 이기헌 민정비서관의 대행 체제로 전환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후임에 대해) 아직 논의하고 계획한 바가 없다”고 밝혔다.
김 수석을 둘러싼 논란은 박 장관에게도 불똥이 튀었다. 박 장관은 전날 김 수석 아들 관련 기사를 페이스북에 올리며 “이 기사를 포스팅하는 이유는 김 수석은 투명하다는 확신 때문”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종합상황실장인 조응천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대선을 앞두고 정치적 중립이 극도로 요구되는 현 시점에서 법무장관이 개인적 확신을 근거로 오지랖 넓게 청와대 참모의 사적 영역에까지 선제적으로 방어하려 나서는 모습은 매우 부적절하다”며 “박 장관의 자제를 촉구한다”고 비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