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군사적 지원이나 파병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다양한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지만 군사적 지원이나 파병은 우리와는 해당되지 않는다”고 답했다.
이 관계자는 “지금 검토하고 있는 건 외교적 조치가 중심이 되고 있고 우리가 희망하는 바는 이 지역에서 대화의 끈을 놓지 않고 더 많은 외교적 노력을 기울여 평화적으로 해결되길 바라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외교적 조치’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묻는 추가 질문에는 “외교적 조치라 함은 당사국과 의견을 나누고 협의하는 것”이라며 “우리가 국제사회서 선도적인 역할을 많이 했기 때문에 한국이 어떤 입장을 취하는가 보는 나라도 많다. 그런 부분에서 당사국 간 긴밀히 협의하는 것들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청와대는 미국 등 서방국가들이 대(對)러시아 제재를 준비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선 여러 가능성을 열어놓고 검토한다는 입장이다.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 연설에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러시아의 침공(invasion)이 시작됐다”며 제재 방침을 공식화했다. 러시아 최대 국책은행 대외경제은행(VEB)과 방위산업 지원특수은행인 PSB 및 42개 자회사를 제재대상에 올렸다.
일단 우리 정부는 러시아 제재로 인한 국내 경제 파급효과 등을 고려해 최대한 신중히 움직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 관계자는 “미국은 러시아에 대해 고강도의 수출통제, 금융제재 등의 계획을 계속 밝혀왔다”며 “우방국에도 이런 협의를 쭉 해오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주요 서방국들은 대러 제재에 동참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하고 있다”며 “우리로서도 여러 가능성을 열어놓고 (상황을) 보고 있다”고 부연했다.
문재인 대통령도 전날(22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및 대외경제안보전략회의 연석회의를 주재하며 “세계 각국은 우크라이나 문제가 조속히 평화적으로 해결될 수 있도록 힘을 합쳐서 노력해야 할 것이며 한국도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 이러한 노력에 적극 동참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이번 사태로 인한 러시아와의 관계 전망에 대해선 “러시아도 신북방 정책 중요한 협력 당사국”이라며 “2020년 수교 30주년을 맞아서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더욱 내실화하기 위해 노력해왔기 때문에 이번 사태가 평화적으로 해결되는 것이 우리 국익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고 덧붙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