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국무총리는 31일 “오미크론으로 낮아진 치명률과 백신과 치료약이라는 무기를 갖춘 상황임을 감안할 때, 이제는 국민들께서 일상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가까운 동네 병·의원에서 쉽게 검사받고 치료받을 수 있도록 일상적 의료체계로 바꿔 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제9차 일상회복지원위원회 모두발언을 통해 “지난 2년간 해오던 것처럼 환자를 일일히 찾아내 역학관계를 조사하고 격리를 통해 치료하던 방식은 더 이상 맞지 않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김 총리는 “이제 우리는 오미크론 정점 이후 상황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며 “우선은 지속되는 환자치료를 위해 의료대응에 역량을 집중해야 하겠지만, 정점 이후 일상회복을 위한 준비도 소홀히 할 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일반의료체계 내에서 안심하고 코로나를 진료하고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많은 준비가 필요하다”면서 “이번 위기도 함께 무사히 넘어설 수 있도록, 다시 한번 힘을 모아주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총리실에 따르면 이날 회의에서는 ▲코로나19 위험도 평가 결과 및 전망 ▲오미크론 특성에 대응하는 의료대응체계 개편방향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질병청은 위험도 평가를 근거로 오미크론 하위 변이인 BA.2(스텔스 오미크론) 우세종화를 고려할 때 일정 수준 이상으로 확진자 규모가 유지될 가능성이 높아 위중증·사망률 최소화를 위한 지속 가능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했다.
정 청장은 “현 상황에서 위중증·사망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에 대한 집중관리 필요성이 있다”면서, 요양병원·시설 관리 강화, 충분한 치료제 확보, 적극적인 예방접종 제고, 한정된 의료자원의 효율적 활용 등을 강조하였다.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의료대응체계 개편과 관련, “일반 의료체계로 단계적으로 이행하고 대응체계를 효율화할 필요가 있다”며 “원활한 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상회복 지원위원회 위원들의 자문 의견을 수렴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위원회에서 수렴된 의견은 정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전달될 예정이다. 정부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영업시간 제한 폐지’를 건의한 가운데, ‘단계적인 완화’ 방안에 무게를 두고 내달 3일부터 적용할 거리두기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새 거리두기는 내달 1일 중대본 회의에서 발표될 예정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