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가처분 신청 등 버티기 예상…당안팎 자진사퇴 요구 거세질듯
“비대위 체제로” “조기 전대 치러야” 향후 지도부 구성 놓고 이견
정진석-김기현-안철수 당권 후보군
새 정부가 출범한 지 두 달 만에 집권 여당 대표가 성 상납 의혹과 관련한 중앙당 윤리위원회 중징계로 사퇴 위기에 직면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졌다. 당초 이준석 대표의 임기는 내년 6월까지. 하지만 이 대표가 8일 윤리위의 ‘당원권 6개월 정지’라는 중징계로 임기를 채우지 못한 채 불명예 퇴진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차기 당권을 둘러싼 치열한 경쟁의 막이 올랐다는 분석이다.
● “비대위 체제부터” vs “곧장 전당대회로”
이 대표는 이날 윤리위의 중징계 결정을 받아들이지 않고 재심을 청구하겠다는 생각이다. 하지만 “윤리위가 스스로 결과를 뒤집을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의견에 힘이 실리고 있다. 이 대표가 법원에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내고 버티기에 들어가더라도 당 안팎에선 자진사퇴 요구가 거세게 일 것으로 보인다. 당장 배현진 의원 등 친윤(친윤석열)계 최고위원을 중심으로 지도부 총사퇴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만약 이 대표가 물러나게 될 경우 당헌당규상 권성동 원내대표가 당 대표 권한대행을 맡아 당을 이끌어가게 된다. 국민의힘의 한 초선 의원은 “하반기 정기국회가 시작되면 권 원내대표는 국정감사와 법안 처리, 예산안 편성 등을 원내에서 진두지휘해야 한다”며 “정기국회가 시작되는 9월 전후로 새 지도부를 선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당내에선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무너진 당 체제를 정비한 뒤 내년 초 전당대회를 열어 새 지도부를 선출해야 한다”는 의견과 “권 원내대표 권한대행 체제로 전당대회를 개최하면 된다”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문제는 ‘당 대표의 임기가 6개월 이상 남았을 경우 60일 이내에 임시전당대회를 열어 당 대표를 다시 선출해 잔여 임기를 채운다’는 당헌당규 조항이다. 이 조항에 따르면 올해 9월을 전후로 전당대회를 개최해 당 대표를 뽑더라도 내년 6월 임기가 끝난다. 이 경우 새 당 대표가 2024년 총선 공천권을 행사할 수 없어 임기 문제가 계속 될 것으로 보인다.
● 2024년 총선 공천권은 누구에게?
여당 안팎에선 관련 조항을 개정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2024년 4월에 22대 총선이 치러지는 일정을 고려할 때 차기 지도부에게 임기 2년을 보장해줘야 힘이 실릴 것”이라며 “잔여 임기가 10개월 정도에 불과한 당 대표를 누가 하려고 나서겠느냐”고 말했다. 특히 친윤(친윤석열)계에서는 “윤 대통령을 도울 수 있는 방향으로 확실하게 당을 개편해야 한다”는 의견이 팽배해 임기 개정 문제가 현실화 될 가능성도 있다.
만약 차기 당 대표가 공천권을 거머쥐게 되면 현직 국회의원에 대한 공천 여부뿐만 아니라 새로운 인물들을 정치권에 등용시킬 수 있는 막강한 권한을 갖게 되기 때문에 단숨에 차기 대선 주자로 발돋움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여당의 한 중진 의원은 “윤 대통령 입장에선 임기를 중반도 채우지 않은 시점에 유력 대선 주자가 당권을 잡는 상황은 달갑지 않을 것”이라며 “관리형 지도부를 선호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당헌당규 개정 문제와 별도로 당내에서는 이미 차기 당 대표 후보군에 대한 하마평은 시작됐다. 친윤계 맏형 격으로 꼽히는 정진석 국회부의장을 비롯해 김기현 전 원내대표와 지난 대선에서 윤 대통령과 후보 단일화를 했던 안철수 의원 등이 대표적이다. 여기에 윤상현 의원 등 중진 의원들의 출마 가능성도 여전하다. 당 핵심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당무와는 철저히 선을 긋고 있지만 결국 윤 대통령의 의중에 따라 당권이 좌우될 것으로 본다”며 “잠재적 경쟁자가 아닌 철저한 조력자를 국정 운영의 파트너로 낙점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이른바 ‘윤핵관(윤 대통령 측 핵심 관계자)’로 불리며 ‘반(反)이준석’ 진영의 중심에 섰던 장제원 의원의 향후 행보 역시 관심사다. 한 여당 의원은 “장 의원이 주요 당직을 맡을 가능성이 높다”면서도 “차기 당 대표 선출 과정에서 ‘윤심’ 논란 등이 격화될 경우 어쩔 수 없이 백의종군을 선언할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