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는 코로나19 ‘재유행’ 없을까…‘통제 해제’ 후가 관건

  • 뉴스1
  • 입력 2022년 8월 2일 11시 38분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일 “세계를 휩쓰는 악성 전염병 비루스(바이러스)의 항시적인 위협으로부터 국가의 안전과 인민의 생명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강도 높은 방역전이 제1순위로 계속 일관하게 진행되고 있다”라고 보도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일 “세계를 휩쓰는 악성 전염병 비루스(바이러스)의 항시적인 위협으로부터 국가의 안전과 인민의 생명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강도 높은 방역전이 제1순위로 계속 일관하게 진행되고 있다”라고 보도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북한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신규 유열자(발열자)가 나흘째 ‘0명’이라고 발표하면서 조만간 ‘방역 성공’을 선언할 것으로 예상된다. 동시에 북한의 코로나19가 ‘재유행’ 여부도 주목된다.

2일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달 31일 오후 6시부터 24시간 동안 파악된 발열자는 한 명도 없으며 49명이 완치됐다고 보도했다. 또 현재 치료 중인 환자는 95명이라고 밝혔다. 북한이 ‘0명’의 발열자를 발표하는 것은 이날로 나흘째다. 이 같은 추세로 신규 발열자가 추가로 발생하지 않고 95명의 치료가 끝난다면 북한이 ‘방역 위기 해소’를 공식 발표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북한은 지난 5월12일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사실을 처음 인정한 뒤 같은 달 15일엔 일일 발열자 수가 40만명에 육박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북한 당국은 그로부터 불과 엿새 만에 코로나19 유행 상황을 ‘안정적으로 통제하고 있다’라고 주장했고 이후 발표된 일일 신규 발열자 수도 꾸준히 줄었다.

일부 전문가들은 북한이 ‘정치적 목표’에 따라 코로나19 상황을 발표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북한이 발표하고 있는 ‘유열자(발열자)’의 정확한 의미가 불분명하고, 다른 발열성 감염 질환자와 구별이 어려운 것이라고 지적하면서다. 또 김정은 총비서가 ‘안정세’를 평가한 이후 발열자 현황이 지속 감소했다는 점이 오히려 의심스럽다는 평가도 있다.

통계의 산출 방법과 정확도를 명확히 알기 어려운 북한의 특수성을 고려해야겠지만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에 대한 ‘재유행’이 반복되는 가운데 북한도 같은 상황을 겪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상당수 전문가들은 북한이 코로나19 환자가 처음 발생했다고 발표한 시점인 지난 4월 말 중국 지린성과 단둥 등 북·중 접경 지역에서 오미크론이 확산되고 있었다는 점에서, 최초 감염 경로가 중국이었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북한은 지난 1월부터 약 2년여간 중단했던 북중 물자교류(단둥-신의주)를 재개했었다.

반면 북한은 코로나19 발생 원인으로 남한으로부터 유입된 ‘색다른 물건’을 지목했다.

북한은 지난달 국가비상방역사령부의 역학조사 결과 최초 확진자들이 남북한 접경지인 강원도 금강군 이포리 지역에서 외부에서 유입된 ‘색다른 물건’을 접촉한 뒤 코로나19 증상을 보였고, 이후 항체 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색다른 물건은 남한 일부 단체에서 보낸 대북 전단을 포함한 물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나 방역 전문가들은 물건에 묻은 바이러스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전파됐다는 것은 ‘비과학적’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결국 북한의 코로나19 재유행 여부는 북중 육로 무역이 재개되는 시점과 연관이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런 가운데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의 친러시아 세력인 도네츠크공화국(DPR)이 북한과 재건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도 북한의 국경 재개방과 맞물려 주목되고 있다. 데니스 푸실린 DPR 정부 수장은 김정은 총비서와 만날 준비가 돼 있다며 방북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

또 북한이 중국과의 물자교류를 계속 미룰 수 없는 상황이라는 분석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북한은 하반기 경제 성장을 최대 과제로 내세우고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중국과의 정상적인 무역이 필수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이를 의식해 새 방역 정책을 구상하고 있을 것으로 본다. 북중 무역 과정에서 보다 강도 높은 방역 절차를 거치거나, 인적 접촉을 최소화하는 방식을 중국과 협의하고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