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국무총리는 영국을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관이 안치된 웨스터민스터 홀에서의 조문록 서명 일정을 건너뛰고 리셉션에 참석한 것에 대해 “성당에서 하는 장례가 진짜 장례고 국장”이라고 20일 밝혔다.
한 총리는 이날 오후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어제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장례식에 참석한 대통령이 참배를 못했나”라는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한 총리는 “왕실에서 런던에 도착한 시간에 따라 (일정을) 한꺼번에 다 할 수 없기 때문에 좀 일찍 도착한 분들은 정식 국장 행사는 아니지만 방명록을 쓸 수 있도록 조율한 것 같다”며 “늦게 도착하는 분들은 여러가지 런던 사정을 감안해 다음 날 참배하도록 한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한 총리는 민홍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외교참사 아니냐”라고 지적하자 “여왕의 관이 있는 데에서 참배를 하는 것과 장례식 미사라는 큰 의미의 조문하러 온 분들이 와서 장례식에 참여하는 것하고 더 공식적인 것은 성당에서 열리는, 여왕을 모시고 하는, 500명 (규모)의 미사가 더 중요한 것 아닌가”라고 주장했다.
한 총리는 “윤 대통령이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이 방한했을 때 만나지 않은 것이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관계 있나”라는 윤 의원의 질문에 “관계가 없다”고 일축했다.
한 총리는 “백악관과 소통해봤습니다만 펠로시 의장과 연관이 없고 펠로시 의장이 한국에 왔을 때 날짜는 인플레이션 감축법이 상원의회를 통과하기 전”이라고 선을 그었다.
펠로시 의장을 만나지 않은 것이 “중국의 눈치를 본 것인가”라는 질의에 한 총리는 “저는 중국의 눈치라기보다는 휴가 중에 펠로시 의장과 전화한 것은 미국에 대해 응분의 배려를 했고, 어떻게 할지 충분히 펠로시 의장 측과 논의했다”고 했다.
이에 대해 윤 의원이 “펠로시 의장의 카운터파트 격인 리잔수 중국 전국인민대표회의 상무위원장이 방문했을 때 공항 영접을 하고 대통령과 면담한 것이 미국 측에 어떻게 비춰졌겠나”라고 지적하자 한 총리는 “그런 문제는 서로 간에 협의하고 이뤄진 일들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