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식수절’(한국의 식목일에 해당)을 기존 3월2일에서 3월14일로 다시 변경했다고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26일 보도했다.
이는 김일성 주석이 한국전쟁(6·25전쟁) 시기 미군과의 전쟁에서 황폐화된 산림 복구를 지시했다는 1952년 3월14일을 근거로 한 결정으로서 주민들의 ‘반미(反美)의식’을 고취하기 위한 의도로 풀이된다.
신문에 따르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공식 명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는 25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식수절을 정함에 대하여’란 정령을 통해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가 산림복구의 첫 봉화를 지펴준 역사의 날인 3월14일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식수절로 한다”고 밝혔다.
최고인민회의 상임위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과 해당 기관들은 이 정령을 집행하기 위한 실무적 대책을 세울 것”이라고 전했다.
상임위는 3월14일을 ‘식수절’로 지정한 배경과 관련해선 “1952년 3월14일은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가 미제(美帝)의 야수적 폭격으로 파괴된 산림을 전 군중적 운동으로 복구할 데 대한 교시를 준 역사의 날”이라고 설명했다. 자신들이 저지른 전쟁 때문에 산림이 망가졌는데도 그 책임을 미국에 돌린 것이다.
북한의 식수절 변경은 이번이 두 번째다. 북한은 당초 김 주석이 1947년 문수산에 나무를 심었다는 4월6일을 식수절로 기념했다. 그러다 1999년 김 주석과 아들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평양 모란봉에 올라 산림조성 구상을 제시한 것을 기념하면서 3월2일로 바꿨다.
북한에선 1990년대 ‘고난의 행군’ 시기 식량·에너지난이 심각해지자 대규모 산지 벌목과 개간을 진행했고, 여기에 홍수·가뭄 등 자연재해까지 겹쳐 민둥산이 급격히 증가했다.
북한은 이후 2001년 김 위원장의 ‘산림조성 10개년 계획’ 발표에 따라 산림복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 아들 김정은 당 총비서 역시 집권 뒤 ‘모든 산을 황금산과 보물산으로’란 기조 아래 양묘장을 건설하는 등 국토관리 사업에 매진하고 있다.
김 총비서는 올해 3월2일 식수절엔 1만세대 살림집을 건설 중인 평양 화성지구를 방문해 전나무 2그루를 심기도 했다. 북한은 이후 김 총비서가 심은 전나무 주변에 1만여그루를 더 심고 기념구역으로 설정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