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강원 강릉 소재 공군기지에서 발생한 지대지 탄도미사일 ‘현무-ⅡC’ 낙탄 사고 원인이 ‘자이로스코프(미사일의 평형 상태를 측정하는 하는 기구) 센서’ 이상인 것으로 잠정 조사됐다.
군 당국은 내년 초까지 현재 군이 운용 중인 현무-ⅡC 미사일을 전수조사하고 별도의 ‘비행안전장치’를 개발하기로 했다.
국방부는 16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여야 의원들에게 에 이 같은 사항을 포함한 현무-ⅡC 미사일 낙탄 사고 원인을 보고했다고 밝혔다.
국방부 관계자는 “(사고 이틀 후인) 10월6일부터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11월 말까지 조사·점검했다”며 “사고 원인은 미사일 안에서 자세를 측정하는 자이로스코프 센서 오류로 추정된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국방부 소속의 한 미사일 전문가도 “3만회 이상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결과, 구동장치와 노즐이 고장났다면 사고와 같은 궤적이 만들어지지 않았다”며 “관성항법장치에서 날개 구동 명령에 오류가 생겼을 때 미사일이 반대 방향으로 발사되는 결과가 나왔기에 그에 관한 문제가 생긴 것으로 판단했다”고 전했다.
통상 유도미사일은 폭약이 탑재된 탄두와 전방부, 미사일이 목표물까지 의도한 경로를 따라 날아갈 수 있게 하는 유도조정부, 연료를 싣는 추진기관부, 미사일 날개·노즐이 달린 구동부로 나뉜다.
이 가운데 ‘유도조정부’엔 실시간으로 미사일 각도와 속도·위치 등을 제어하는 관성항법장치, 관성항법장치에서 측정한 데이터로 구동부를 움직이게 하는 유도조정장치가 들어 있다.
그러나 군 당국은 현무-ⅡC에 탑재된 자이로스코프의 수많은 부품 가운데 어디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특정하지 못했다
국방과학연구소(ADD) 관계자는 “사고 미사일의 경우 계측 데이터가 없어서 원인을 분석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며 “자이로스코프는 신뢰도가 높은 장비으로서 굉장히 많은 곳에 적용되고 있다. 이번 사고는 이례적인 일”이라고 말했다.
군 당국은 보다 정확한 사고 원인 분석을 위해 자이로스코프 점검 과정을 더 구체화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내년 3월까지 현무-ⅡC 미사일의 전수조사도 벌일 예정이다. 군 당국은 특히 사고 미사일과 같은 제조단위(로트)에 속한 미사일 가운데 일부는 분해 후 상세 점검을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군 당국은 유사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해 ‘미사일 비행안전장치’도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이 장치는 원격 측정 시스템을 미사일 안에 넣어 비행 데이터를 분석하는 기능을 한다. 또 미사일이 비행 중 의도했던 궤도에서 벗어날 경우엔 탄두부를 분리하는 ‘비행 안전 종료 시스템’도 포함된다. 다만 최종 개발까진 앞으로도 상당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군은 지난 10월4일 오후 늦게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도발에 따른 대응의 일환으로 강릉 소재 공군 A비행단에서 현무-ⅡC 미사일을 동해상을 향해 발사했다. 그러나 이 미사일은 발사 후 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약 1㎞ 떨어진 부대 내 골프장 및 유류 저장고 인근에 떨어졌다.
다행히 낙탄한 미사일이 폭발하지 않았으면서 인명 피해 등도 발생하지 않았으나, 탑재돼 있던 고체연료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화염과 섬광이 인근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 등에게 목격되면서 밤새 소동이 벌어졌다. 주민들은 10월5일 오전 7시쯤까지 설정돼 있는 당시 미사일 발사에 대한 ‘엠바고’(보도 유예) 때문에 사건 정황도 뒤늦게 파악할 수밖에 없었다.
이와 관련 국방부는 “(훈련 등을) 주민에게 공지하는 데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며 “매뉴얼을 보완하고 검토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군 당국은 현무-ⅡC 미사일 낙탄 사고와 관련해 ‘해킹 징후는 없었다’고 밝혔으나, 미사일 관련 정보보호체계에서 일부 최신 보안 패치가 적용되지 않은 사례가 확인됐다고 전했다.
방위사업청은 해당 사항에 대해 즉각 최신 보안 패치 적용 등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한편, 기술보호체계 실태조사를 통해 점검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