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당국은 26일 발생한 북한 무인기의 우리 영공 진입 사건과 관련해 “(서울) 용산 상공을 비행한 항적은 없었다”고 밝혔다.
이성준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은 27일 브리핑에서 “(북한 무인기 1대는) 어제(26일) 수도권 북부 지역까지 비행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전날 북한에서 발진한 무인기 5대는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우리 영공에 침입했다. 이 가운데 1대는 경기도 파주·김포를 지나 은평구 등 서울 북부 지역 상공까지 약 3시간 동안 비행하다 북한으로 돌아갔고, 나머지 4대는 인천 강화 일대 상공을 배회하다 서쪽으로 날아가면서 우리 군의 탐지 범위를 벗어났다고 한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선 북한이 이번에 띄운 무인기가 날개 총길이 2m급 이하의 소형이란 점을 들어 ‘군 레이더엔 항적이 포착되지 않았더라도 실제론 대통령실이 위치한 용산 상공까지 날아왔을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 실장은 “3m 이하 무인기는 탐지·식별이 상당히 제한된다. 어제도 (무인기) 탐지와 식별이 계속 반복됐다”면서도 “아군 무기체계는 적의 움직임이나 예상 경로를 고려해 배치하고 거기에 따라 작전을 수행한다. 주요 지역엔 성능이 좋은 장비가 더 많이 배치했을 것”이란 말고 그 가능성을 일축했다.
서울 용산 대통령실과 국방부 청사 주변엔 대공 방어용으로 고성능 탐지장비와 관련 무기체계 등이 배치돼 있단 뜻으로 풀이된다.
우리 군은 북한 무인기의 이번 영공 침입에 대응하기 위해 전투기·헬기 등 20여대의 공중자산을 투입했다. 그러나 북한 무인기 5대를 모두 놓치고 격추에도 실패하면서 ‘대공 방어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게 아니냐’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이 실장은 “탐지·추적·격추자산을 운용했으나 (북한 무인기가) 식별됐을 땐 민간 피해가 우려되는 지역에 있었고, 그 외 지역에선 (북한 무인기가 레이더에서) 소실되기도 해 작전을 펼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필요한 작전 요소와 장비는 최대한 활용했다”고 밝혔다.
이 실장은 북한 무인기 비행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 재난문자 등을 통해 그 사실을 알리지 않은 데 대해선 “북한 무인기를 실시간으로 추적·감시하다보니 지역 주민들에게 문자 등을 통해 알리지 못했다”며 “관련 규정·절차를 살펴보고 보완할 부분이 있다면 보완토록 하겠다”고 답했다.
우리 군은 전날 북한 무인기의 우리 영공 침범에 따라 감시 및 대비태세 강화 등 조치를 취했으며, 이날은 합참 전비태세검열실을 통해 예하부대의 작전 조치 사항 가운데 미흡하거나 보완해야 할 부분 등에 대한 점검을 진행 중이다.
이종섭 국방부 장관은 이날 오전 국무회의에 참석하는 대신 전날 북한 무인기 관련 상황을 정리하며 추가 대책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