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무인기가 정찰활동에 활용됨은 물론 생화학 무기 운반도 가능할 수 있어 한국이 보다 튼튼한 대응 역량을 갖춰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브루스 베넷 랜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27일 미국의소리(VOA)에 “북한이 5년 전보다 더 정교한 드론을 보유하고 있을 것”이라며 북한이 기술 확보를 위해 러시아에 요원을 파견하는 등 무인기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해왔다고 말했다.
전날인 26일 북한에서 출발한 무인기 5대가 남하해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우리 영공에 침범했다. 북한의 무인기는 2m급 이하 소형 무인기로, 1대는 경기도 파주·김포를 지나 은평구 등 서울 북부 지역 상공까지 비행하다 북한으로 돌아갔다. 나머지 4대는 인천 강화 일대 상공을 배회하다 우리 군의 탐지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 무인기가 우리 영공을 침범한 것은 2017년 6월 이후 5년 만이다. 우리 군이 2014년 발견한 북한 무인기의 경우 무기를 싣는다면 400~900g 정도의 수류탄 1개를 겨우 실을 수 있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북한이 지속적으로 성능을 개량했을 가능성이 높아 무인기에 더 위력적인 무기 탑재가 가능할 수도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베넷 연구원은 “북한은 수백 개의 드론을 보유한 것으로 추정되며 고성능 폭발물이나 생화학 무기 등을 운반하는 데 사용돼 한국에 심각한 위협을 제기할 수 있다”라며 한국 정부가 북한의 무인기와 관련해 ‘제로 침투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전문가 데이비드 스틸웰 전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도 “약 5년 전 한국을 침투한 무인기는 크기가 크고 정교하지 않은 초기 수준이었지만 정교한 비행체가 아니더라도 무기를 실어 충돌하는 공격을 단행할 수 있다”라는 의견을 냈다.
그는 이어 “북한의 무인기 침투 목적은 정보수집과 사진 촬영 등 정찰활동과 함께 무인기 공격에 대한 한미연합군 등 한국 측의 대응을 시험하는 차원”이라고 부연했다.
켄 고스 미 해군분석센터(CNA) 적성국 분석담당 국장은 “북한이 정찰 역량과 물체 운반 능력 등 무인기 성능을 시험하고 한국 관련 방어체계와 대응 속도 등도 파악하려 했을 것”이라고 봤다. 그러면서 북한의 무인기 침범은 미사일 발사와 같이 한미에 보내는 전략적 메시지도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전문가들은 한국 군 당국이 전날 북한 무인기를 격추하지 못한 점을 지적하며 “확실한 대응이 필요하다”라고 입을 모았다. 우리 군 당국은 북한 무인기 침투에 대해 공군 전투기·공격 헬기·경공격기 등으로 대응에 나서고 레이더에 무인기가 포착되자 헬기의 20㎜ 기관포로 100여 발 사격을 가했으나 격추에는 실패했다.
이와 관련 스틸웰 전 차관보는 “북한 무인기는 격추됐어야 했다”면서 “한국과 주한미군, 유엔군사령부 등이 북한 무인기 침투와 관련 적극적으로 협의하고 아직 무인기를 파괴할 역량을 발전시키지 못했다면 이를 갖춰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베넷 연구원은 이번 사건에 대해 “엄연히 한국 영공에 대한 침범”이라고 지적하며 “한국은 방공 체계나 전투기를 통한 격추 등 북한의 무인기를 파괴할 계획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