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정치
북한 무인기 12대 보냈다?… 軍 “우리가 탐지한 건 5대”
뉴스1
업데이트
2023-01-03 11:30
2023년 1월 3일 11시 30분
입력
2023-01-03 11:29
2023년 1월 3일 11시 29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지난달 29일 경기 양주 가납리 비행장 일대에서 북한 소형 무인기 도발 상황을 가정한 합동방공훈련이 진행되고 있다. 2022.12.29. 뉴스1
군 당국은 북한이 지난달 26일 우리 영공으로 날려보낸 무인기가 5대가 아닌 12대였다고 주장했단 일부 언론보도와 관련해 “우리가 탐지한 건 5대”라고 밝혔다.
이성준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은 3일 브리핑에서 해당 보도에 관한 질문에 “관련 보도에 대해 우리가 사실관계를 명확히 얘기하는 건 좀 부적절한 것 같다”며 이같이 답했다.
이 실장은 사건 발생 당시 군에선 북한 무인기 5대를 탐지해 “그에 대한 조치·대응을 실시했다”고 부연했다.
이에 앞서 북한 전문매체 데일리NK는 소식통을 인용, 북한군이 작년 12월 실시한 ‘동기(冬期) 훈련’에 대한 평가 보고서에 “무인기 실전 침투작전이 성과적으로 진행됐다. 이번 훈련으로 적들의 아성을 혼비백산케 했다”는 내용을 담았다고 보도했다.
특히 북한군은 해당 보고서에서 “남측에 침투시킨 무인기가 5대가 아닌 12대이며, 적군이 이를 감지도 하지 못했다”고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 군은 지난달 26일 북한 무인기 5대가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영공에 침입한 사실을 확인하고 전투기·헬기 등 공중전력 20여대를 띄워 그 대응에 나섰지만 1대도 격추하거나 포획하지 못해 ‘작전 실패’ 논란이 일었다.
이 때문에 이종섭 국방부 장관과 강신철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은 각각 국회 답변과 브리핑을 통해 대국민사과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북한이 이번에 서울 북부 상공까지 보낸 양 날개 길이 2m급 이하의 소형 무인기는 전파 반사 단면적이 좁아 고성능 레이더가 아닌 이상 탐지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하규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우리 군은 북한의 소형 무인기를 비롯한 공중 위협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그에 대비하고 있다”며 “북한의 공중 도발시엔 즉각 대응할 수 있는 방공작전 태세를 유지하고 또 필요한 부분을 보완해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전 대변인은 ‘북한 무인기 방어를 위해 훈련시킨 독수리를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란 일부 언론보도와 관련해선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
(서울=뉴스1)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헌재 “기일변경 신청 결론 못내… 20일에 尹 안나와도 진행 가능”
전기차는 클린? 브레이크 분진이 디젤 배기가스보다 해롭다
이재명 “민주당 집권땐 코스피 3000”… 20일 현대차 방문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0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