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 10명 중 7명은 대한민국의 독자적 핵 개발과 무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비핵화에 대해선 불가능하다는 반응이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최종현학술원이 30일 발표한 ‘북핵 위기와 안보상황 인식’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1000명 중 한국의 독자적인 핵 개발이 필요한지에 대해 76.6%가 ‘필요하다’(‘어느 정도 그렇다’, ‘매우 그렇다’ 포함)고 답했다.
응답자의 72.4%는 한국의 핵 개발 능력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북한의 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이 진행하고 있는 대응전략을 잘 알고있냐’라는 질문엔 응답자의 61.6%가 모른다(잘 모른다, 전혀 모른다 포함)고 답했다.
북한의 비핵화가 가능하냐는 질문에 대해 응답자의 77.6%는 불가능하다고 답했으며 북한이 제7차 핵실험을 강행할 것으로 생각하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8.6%가 ‘그렇다’고 답했다.
한반도 유사시 미국이 핵 억지력을 행사할 것으로 보는지에 대해선 ‘그렇다’고 답한 비율(’어느 정도 그렇다’, ‘매우 그렇다’ 포함)이 51.3%, ‘그렇지 않다’(‘별로 그렇지 않다’, ‘전혀 그렇지 않다’ 포함)고 답한 비율은 48.7%로 2.6%P 차이를 보였다.
한국, 미국, 일본 간 안보협력이 가능하냐는 질문에 대해 긍정적으로 답한 응답자는 71.9%로 부정적으로 답한 응답자(28.1%)보다 많았다.
중국의 북한 비핵화 실질적 기여와 관련해 우리 국민은 부정적인 입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의 비핵화에 중국이 실질적인 기여를 할 가능성에 대해 ‘없다’(‘별로 없다’, ‘전혀 없다’ 포함)고 답한 응답자(64.1%)가 ‘있다’(‘약간 있다’, ‘많이 있다’ 포함)고 답한 응답자(35.9%)보다 많았다.
남북통일에 대한 중국의 역할에 대해 ‘방해가 될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55.1% 기록했다. 도움도 방해도 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는 경우는 34.7%, 기여가 예상된다는 응답자 비율은 10.2%를 차지했다.
주한미군의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한반도 배치에 대해서는 찬성 비율이 51%로 기록됐다. 반대한다는 응답 비율은 18.9%였으며 잘 모르겠다고 답한 비율도 30.1%이었다.
일본의 핵무기 개발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응답자는(63.5%) 가능성이 없다고 생각한 응답자(36.5%)보다 27%P 더 많았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1월 28일부터 12월 16일까지 최종현학술원이 한국갤럽에 의뢰해 1대1 면접조사 방식으로 실시됐다.
최재호 동아닷컴 기자 cjh1225@donga.com
-
- 좋아요
- 0개
-
- 슬퍼요
- 0개
-
- 화나요
- 0개
-
- 추천해요
- 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