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18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2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참석에 앞서 방명록을 작성했다. 대통령실 제공 2022.5.18 뉴스1
김재원 국민의힘 수석최고위원의 발언으로 촉발된 5·18 민주화운동 논란이 수습 국면으로 접어든 양상이다. 다만 당 일각에서 내년 총선을 앞두고 호남표를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는 여전한 상황이다.
김 수석최고위원은 지난 12일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가 주관하는 주일예배에서 5·18 민주화운동 정신의 헌법 수록을 반대한다고 발언했다.
무엇보다 ‘전라도에 립서비스한 것이냐’는 질문에 “표 얻으려면 조상 묘도 판다는 게 정치인들 아니냐”고 답하며 논란에 휩싸였다. 여기에 김광동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 위원장이 북한의 5·18 민주화운동 개입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논란이 커졌다.
논란이 확산되자 김 최고위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저의 모든 발언으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려 매우 죄송하다. 앞으로 조심하겠다”라며 “아울러 5·18 정신의 헌법전문 게재에도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고 사과했다.
당 지도부도 수습에 가세했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전날 기자들과 만나 “김 최고위원은 본인이 잘못했다고 사과한 상태다. 김 위원장은 미묘한 언어의 차이가 있는 것 같다”고 논란 확산에 선을 그었다.
성일종 정책위의장도 같은날 라디오 방송에서 “위대한 정신을 폄훼하거나 개인적으로 의견이 있는 것처럼 얘기하는 것은 옳지 않다”면서도 “(김 최고위원이) 신중하신 분인데 교회에 가서 박수 소리도 많이 나오고 이러니 갑작스레 나온 것 같다”고 두둔했다.
다만 김기현 지도부가 윤석열 정부의 국정 동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내년 총선 승리를 목표로 하는 만큼 이런 사태가 다시는 일어나서는 안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5·18 논란으로 여러 차례 어려움을 겪은 만큼 같은 상황이 반복되면 향후 총선 행보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에서다.
실제 국민의힘은 자유한국당과 미래통합당을 거치면서 5·18 민주화운동과 관련한 잡음이 끊이지 않았다. 당시 높은 비호감도로 인해 문재인 정부 시절 실정에 대한 반발이 컸음에도 반사이익을 누리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때문에 국민의힘은 김종인 비대위 체제와 이준석 대표 체제를 거치면서 호남에 공을 들였다. 당명 교체 과정에서 정강·정책에 민주화 운동을 명시하고, 김 전 위원장이 광주에서 무릎을 꿇은 것도 비호감 이미지를 줄이고, 외연확장을 위해서다.
이번 논란으로 김기현 대표의 연포탕(연대·포용·통합) 행보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연포탕의 목적이 내년 총선 승리인데 호남을 저버리는 발언이 외연확장에 발목을 잡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당권 도전에 나섰던 천하람 전남 순천갑 당협위원장은 전날 광주 KBS ‘토론 740’에 출연해 “호남에서 뛰는 사람들이 백날 천날 뛰면 뭐하나. 중앙에서 재를 뿌리는데”라며 “공든 탑을 무너뜨리는 것은 하루아침”이라고 비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