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1일에도 남북 공동연락사무소와 군 통신선 정기 통화에 답하지 않으면서 남북 간 상시채널 ‘불통’이 5일째 이어졌다. 기술적 결함이 아닌 의도적인 차단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는데 과거 사례를 감안하면 통신선 차단 사태도 장기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통일부와 국방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9시 남북 공동연락사무소와 군 통신선 업무 개시 통화가 북측의 무응답으로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았다.
남북 간에 유선으로 연결된 통신선은 통일부가 평일 오전 9시 개시통화, 오후 5시 마감통화를 진행하는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채널과 국방부가 매일 오전 9시 개시통화, 오후 4시 마감통화를 하는 동·서해 군 통신선이 있다.
북측은 지난 7일부터 남북 정기 통화에 응답하지 않고 있다.
2021년 10월 남북 간 통신선이 복원된 이후 남북 연락사무소나 군 통신선이 하루 이상 두된 경우는 이번이 처음이다.
정부는 북한의 일방적인 통신선 차단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최근 한미 연합군사훈련과 미 전략자산의 한반도 전개, 북한 인권보고서 공개 및 유엔인권이사회의 북한인권결의 채택, 개성공단 내 우리 측 시설의 무단사용 중단 요구 등에 대한 시위성이 짙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북한은 앞서 6일 개성공단 내 통근버스 운영 등 한국 측 자산을 무단 사용한 데 대해 정부가 즉각 중단을 촉구하는 통지문을 보내려 했을 때도 남북 연락채널 전화를 일방적으로 끊어버렸다.
북한이 남북관계를 긴장으로 몰아가려 할 때 연락 채널을 끊었던 전례를 비춰보면 대남 공세를 본격화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이에 따라 군은 추가 도발 징후일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관련 동향을 주시하고 있다.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전날 “상황을 지켜보면서 대응 방안을 검토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