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설화로 물의를 일으킨 김재원·태영호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윤리위원회 징계 절차에 오르면서 징계 수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국민의힘 윤리위는 오는 8일 회의를 열고 당사자들의 소명을 들을 계획이다. 당 안팎으로 두 사람에 대한 중징계가 불가피하단 목소리가 높은 만큼 ‘당원권 정지 1년’ 결정이 나올 수도 있단 전망이 나온다.
3연타 실언으로 한 달 간 공개활동을 중단하기도 했던 김 최고위원은 6일 자신의 징계 반대 서명을 독려하며 당의 결정에 반발하는 모습을 보였다. 김 최고위원은 자신의 징계 반대 청원 서명자 중 절반 이상이 당원이 아니라는 비판이 일자 “서명자 모두가 책임당원이라 한 사실이 없다”고 응수했다. 이어 “온라인 서명 특성상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고 주장하며 온라인 청원 링크를 올렸다 삭제하기도 했다.
이를 두고 당내에선 김 최고위원이 자진사퇴할 의사가 없음을 거듭 밝힌 것이란 해석이 나왔다. 김기현 대표가 지난 4일 최고위원회의를 취소하는 등 사퇴 압박을 강화하자 자신의 징계가 부당함을 다시한번 피력한 것으로 보인다.
태영호 최고위원도 전날 ‘녹취록 유출’ 논란과 ‘쪼개기 후원금’ 의혹 관련 고발 방침을 밝히면서 억울하다는 입장을 취했다. 당초 태 최고위원을 향해선 김 최고위원과 달리 당내 엄호하는 분위기가 강했다. 북한 엘리트로 살아온 태 최고위원의 역사관이 남한과 다를 수 있다는 취지의 옹호 기류가 당내 곳곳에서 흘렀지만 지난 3일 기자회견 이후 우호 세력도 등을 돌리는 모양새다.
태 최고위원은 3일 기자회견에서 자신을 향한 의혹 제기를 두고 “여러 역사적 평가와 관련한 발언이 있은 후 매일 사퇴하라는 정치적 공세와 ‘태영호 죽이기 집단 린치’가 각 방면으로 펼쳐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대통령실 공천 개입 논란 등 당안팎으로 물의를 일으킨 데 대한 사과나 유감의 표명은 빠져있어 되려 자충수가 됐다는 평가가 많았다.
지도부의 압박 속에서도 두 사람이 사퇴 거부 입장을 고수하자 당내에선 중징계를 통해 이들의 자진사퇴를 유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 최고위원은 뉴시스와 통화에에서 “최고위원 대다수가 김·태 최고위원의 중징계가 필요하다고 동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다른 지도부 인사는 “윤리위에 지도부가 관여할 수 없다”면서도 “중징계를 피할 수 없는 만큼 스스로 결단하는 게 가장 좋지 않겠나”라고 했다.
당초 태 최고위원은 김 최고위원보다 낮은 수위의 징계가 점쳐졌다. 그러나 대통령실 공천 개입 논란을 일으킨 태 의원실 회의 녹취록 유출, 후원금 쪼개기 의혹 등이 불거지며 두 사람 모두 중징계 분위기로 흘러가는 모양새다. 극우 성향 발언으로 중도와 진보, 호남·제주 등 민심 이반을 야기한 데 이어 대통령실까지 두 사람의 연이은 실언에 격분한 것으로 전해지면서 이들의 내년 총선 가능성도 불투명해진 상황이다.
국민의힘 당규에 따르면 윤리위 징계는 경고, 당원권 정지(최장 3년), 탈당 권유, 제명 등 4단계로 나뉜다. 당원권 정지 1년 이상의 징계를 받을 경우 내년 총선 공천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당내에선 두 사람이 최고위원을 자진 사퇴해 출구 전략을 마련할 수도 있지 않겠느냔 목소리도 나온다. 다만 한 친윤계 의원은 “두 사람이 공천에서 배제될 경우 오히려 발언 수위 등의 통제가 더 불가능해질 수 있다”며 “이러나저러나 총선엔 참 악재”라고 우려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