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동포 관련 업무를 전담할 외교부 산하 재외동포청 최종입지로 인천이 사실상 낙점됐다. 본부는 인천에 두되 재외동포들의 편의성과 접근성 등을 고려해 민원센터는 서울에 두는 절충안이 마련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이 같은 재외동포청 입지 선정에 대해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의 방한 일정이 끝나는 8일 또는 9일 공식 발표할 방침이다.
박대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가운데)이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재외동포청 성공적 출범을 위한 당정협의회에 참석, 발언하고 있다. 뉴스1
7일 여권관계자 등에 따르면 대통령실은 당정협의회 결과를 바탕으로 인천을 최종 선정하되 재외동포들이 오고가기 편하고 행정 처리가 비교적 편리한 서울에 민원센터 내지 ‘재외동포협력센터’(가칭)를 두는 것으로 정리했다. 4일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당정협의회에서는 ‘재외동포들의 접근성’과 ‘국토 균형발전’이라는 기준에 충족하는 지역 1곳을 유력하게 논의했지만 최종 결정은 되지 않은 상황이었다.
재외동포청 설립은 지난해 5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정부조직 개편의 우선순위를 차지하면서 관련 논의가 본격화됐다. 2월 27일 국회를 통과한 정부조직법 개정안에 따라 재외동포청은 관계 부처 협업을 통한 영사·법무·병무·교육 등 민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동시에 재외동포재단의 기존 사업인 재외동포·단체 교류 협력, 네트워크 활성화 및 차세대 동포교육, 문화홍보사업 등을 승계해 수행하게 된다.
다음달 5일 재외동포청 출범을 앞두고 여러 지방자치단체들이 유치전에 열을 올렸지만 특히 인천은 국제공항이 위치해 있다는 점을 내세워 “입국하는 동포들의 접근성이 높다”는 점을 거듭 강조해왔다. 외교부 측은 업무 효율성과 정책 수요자들의 편리한 접근을 위해 서울에 유치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정부소식통은 “실제로 지난달 여의도연구소 등 4곳에서 재외공관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펼친 결과 재외동포들이 압도적으로 서울에 동포청 설립을 희망했다”고 말했다. 대통령실과 정부는 이 같은 여론과 국토 균형발전 등 정무적 요소 등을 두루 고려해 본부와 민원센터 이원 설립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신나리기자 journari@donga.com
좋아요
40개
슬퍼요
0개
화나요
2개
댓글 5
추천 많은 댓글
2023-05-07 13:51:38
해외동포청 인천낙점 은 신의 한수다. 역시 심사숙고 한 윤석열 대통령정부의 결과물이다. 인천이 주는 역사적 의미나 지리적 여건으로 볼때 최고의 위치다. 화이팅!!
댓글 5
추천 많은 댓글
2023-05-07 13:51:38
해외동포청 인천낙점 은 신의 한수다. 역시 심사숙고 한 윤석열 대통령정부의 결과물이다. 인천이 주는 역사적 의미나 지리적 여건으로 볼때 최고의 위치다. 화이팅!!
2023-05-07 14:21:23
더불어 범죄당 패개거리 똘마니 탐라는 저멀리 밀려나고 헛 탈춤만 춰구려 ᆢ
2023-05-07 17:38:11
호남향우회가 잡고있는 재외동포청의 물갈이 인사가 선결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