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인물의 일생을 담은 전기를 읽으면 접하게 되는 좋은 것들이 있다. 한 사람이 태어나 위대함에 이르는 과정과 요인, 탁월한 생각 업적 인품 등 위대함의 내용, 그가 지내며 겪었던 시대의 모습 등이 그것이다.
이 책의 주인공은 20세기 최고의 물리학자로 기억되는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다. 그는 ‘광전자 이론’으로 생전인 1921년 한 차례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하지만 그가 2020년(140세)까지 살았다면 ‘상대성 이론’의 입증 등을 통해 다섯 개나 더 노벨상을 받을 수 있었다고 책은 말한다.
자연과학도라면 뜨고 진 자연과학 이론의 역사를 개괄하는 즐거움을 맛볼 수 있지만 인문학도에게는 조금 어려울 수도 있다. 하지만 아인슈타인이 1차 세계대전과 2차 세계대전을 겪고 미국의 원자폭탄 개발에 개입한 이야기는 국제정치학적 측면에서도 가치가 있다.
독일이 일으킨 1차 세계대전 당시 아인슈타인은 ‘일반 상대성 이론의 기초’라는 논문을 발표하고 중력이 빛을 휘게 한다고 주장했다. 전쟁이 끝나고 영국 과학자들이 이론을 검증하는 실험을 하려 하자 아인슈타인이 독일인이라는 점이 문제가 됐다. 그때 영국 천문학자 아서 스탠리 에딩턴은 이렇게 말했다고 책은 전한다. “진리에는 국경이 없다. 어느 나라 과학자의 이론이든 옳은 이론을 증명하는 것은 과학자들의 책임이다.”
아인슈타인은 2차 세계대전 당시의 많은 과학자와 마찬가지로 독일이 원자폭탄을 먼저 개발하면 안 된다고 생각했다.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에게 “미국이 먼저 원자폭탄을 개발해야 한다”는 편지에 서명했고 이는 미국의 ‘맨해튼 프로젝트’로 이어졌다.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떨어진 원자폭탄이 일본의 무조건 항복과 종전을 이끌었지만 엄청난 민간인 희생을 본 아인슈타인은 “내 생애에 가장 큰 실수”라며 후회했다고 책은 전한다.
신석호 기자 kyle@donga.com
좋아요
7개
슬퍼요
2개
화나요
2개
댓글 3
추천 많은 댓글
2023-05-21 12:41:33
아이슈타인이 간과한게 역설적이게도 핵폭탄으로 인한 민간인의 희생을 줄인건 모른다. 일본 본토를 점령하기 위해 더 많은 사람들이 죽었을걸 핵폭탄이 막은거다. 2차세계대전이후에도 소규모 국지전만 벌어졌을뿐 세계대전은 없었다. 우러 전쟁의 확산을 막고있는 것도 핵폭탄이다.
2023-05-21 12:46:48
원폭뿐만 아니라 이차대전 당시 민간인 대상 도시 융단폭격도 잘못된 것이었다. 다만, 원폭의 가장 큰 책임은 일본에 있는 것이다. 당시 일본 정부가 원폭때문에 항복했다고 믿기 쉬우나, 일본은 구 소련의 만주 침공으로 항복한 것이다. 자국에 원폭이 떨어지건말건 광활한 만주를 배경으로 악착같이 버티려 했던게 일본정부인데 요즘 희생자 코스프레를 한다.
2023-05-21 20:37:13
미국의 원폭투하로 20만명이 사망한 히로시마 ,이곳에서 미국을 비롯 서방 20여개국이 회의를 했다.일본의 잘못으로 야기 된 것이기는 하지만 원한이 없을 수는 없다. 하지만 이것이 역사다.앞으로 나가기 위해 넘어가 주는것이다.우리도 큰 안목으로 대처하여 앞날을 개척해 나가야할줄 안다
미국의 원폭투하로 20만명이 사망한 히로시마 ,이곳에서 미국을 비롯 서방 20여개국이 회의를 했다.일본의 잘못으로 야기 된 것이기는 하지만 원한이 없을 수는 없다. 하지만 이것이 역사다.앞으로 나가기 위해 넘어가 주는것이다.우리도 큰 안목으로 대처하여 앞날을 개척해 나가야할줄 안다
2023-05-21 12:46:48
원폭뿐만 아니라 이차대전 당시 민간인 대상 도시 융단폭격도 잘못된 것이었다. 다만, 원폭의 가장 큰 책임은 일본에 있는 것이다. 당시 일본 정부가 원폭때문에 항복했다고 믿기 쉬우나, 일본은 구 소련의 만주 침공으로 항복한 것이다. 자국에 원폭이 떨어지건말건 광활한 만주를 배경으로 악착같이 버티려 했던게 일본정부인데 요즘 희생자 코스프레를 한다.
2023-05-21 12:41:33
아이슈타인이 간과한게 역설적이게도 핵폭탄으로 인한 민간인의 희생을 줄인건 모른다. 일본 본토를 점령하기 위해 더 많은 사람들이 죽었을걸 핵폭탄이 막은거다. 2차세계대전이후에도 소규모 국지전만 벌어졌을뿐 세계대전은 없었다. 우러 전쟁의 확산을 막고있는 것도 핵폭탄이다.
댓글 3
추천 많은 댓글
2023-05-21 12:41:33
아이슈타인이 간과한게 역설적이게도 핵폭탄으로 인한 민간인의 희생을 줄인건 모른다. 일본 본토를 점령하기 위해 더 많은 사람들이 죽었을걸 핵폭탄이 막은거다. 2차세계대전이후에도 소규모 국지전만 벌어졌을뿐 세계대전은 없었다. 우러 전쟁의 확산을 막고있는 것도 핵폭탄이다.
2023-05-21 12:46:48
원폭뿐만 아니라 이차대전 당시 민간인 대상 도시 융단폭격도 잘못된 것이었다. 다만, 원폭의 가장 큰 책임은 일본에 있는 것이다. 당시 일본 정부가 원폭때문에 항복했다고 믿기 쉬우나, 일본은 구 소련의 만주 침공으로 항복한 것이다. 자국에 원폭이 떨어지건말건 광활한 만주를 배경으로 악착같이 버티려 했던게 일본정부인데 요즘 희생자 코스프레를 한다.
2023-05-21 20:37:13
미국의 원폭투하로 20만명이 사망한 히로시마 ,이곳에서 미국을 비롯 서방 20여개국이 회의를 했다.일본의 잘못으로 야기 된 것이기는 하지만 원한이 없을 수는 없다. 하지만 이것이 역사다.앞으로 나가기 위해 넘어가 주는것이다.우리도 큰 안목으로 대처하여 앞날을 개척해 나가야할줄 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