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정찰위성 실패, 가장 엄중한 결함”… 간부들 무책임성 공개 질책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6월 19일 17시 08분


북한은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참석한 가운데 당 중앙위원회 8기 8차 전원회의를 16~18일 당 중앙위원회 본부에서 진행했다고 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19일 보도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북한은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참석한 가운데 당 중앙위원회 8기 8차 전원회의를 16~18일 당 중앙위원회 본부에서 진행했다고 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19일 보도했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지난달 ‘1호 군사정찰위성’ 발사 실패와 관련해 “가장 엄중한 결함”이라며 간부들을 질책이 나왔다.

북한은 19일 관영매체를 통해 16~18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8차 전원회의 개최 사실을 알리며 “(회의에서) 위성 발사준비 사업을 책임지고 추진한 일군(간부)들의 무책임성이 신랄하게 비판되었다”고 밝혔다. 이 내용은 북한 주민들이 보는 매체인 노동신문에도 공개됐다. 북한은 지난달 31일 군사 정찰위성을 탑재한 발사체 ‘천리마 1형’ 발사 실패 직후엔 대외 매체인 조선중앙통신을 통해서만 실패 사실을 공개한 바 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전원회의에 참석했지만 북한은 김 위원장의 연설을 공개하지 않았다. 통일부 당국자는 “김 위원장의 전원회의 연설이 공개되지 않은 건 처음”이라고 했다. 앞서 김 위원장은 군사정찰위성 준비 단계에선 직접 국가우주개발국을 찾아 현지 지도했다. 하지만 발사 실패 이후 뚜렷한 입장을 내지 않았고, 이번엔 연설도 공개되지 않은 것. 이에 식량난 등 경제 위기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올 상반기 핵심 과업인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통해 국면 전환을 하려다 실패하자 김 위원장이 그 책임을 실무 간부들에게 떠넘기려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북한은 전원회의에서 “군사정찰위성 발사 실패 원인을 분석해 빠른 시일 안에 성공적으로 발사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북한이 발사 실패가 문제 없다는 취지가 아닌, 오히려 간부들의 무책임으로 책임 소재까지 따진 만큼 재발사에 시간이 걸릴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정부 소식통은 “북한이 국제기구에 추진체 추락지점을 사전 통보하지 않고 발사에 나설 경우 민항기나 어선 등에 피해를 주지 않으려면 신중하게 날짜를 택일해야 한다”며 “국제사회 비난을 피하기 위해 가장 안전한 날을 정하는 데도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북한은 전원회의에서 한미를 겨냥해선 “핵무기 발전방향과 핵역량증강노선을 일관되게 틀어쥐겠다”면서 “행동 대 행동의 원칙을 철저히 견지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과 대응 방식을 일치 가결로 승인했다”고 밝혔다.

  • 좋아요
    1
  • 슬퍼요
    0
  • 화나요
    5

댓글 4

추천 많은 댓글

  • 2023-06-19 20:08:46

    고마해라.....마이묵었따아이가......

  • 2023-06-19 20:17:17

    북이 한 20년 걸려서 군사위성 개발에 성공한다 치자. 용산의 동향을 파악해서 중국산 무인기로 남조선 대통령을 암살했다 치자. 그럼 총리가 권력을 승계하고 새로 대통령 뽑으면 그만이다. 전쟁 수행에 아무 지장이 없다. 반면에 한국군은 작전권을 환수 한다면, 곧 더 많은 군사위성을 가지고 김정은을 참수할 수 있다. 북은 방공망이 낡아서 참수시도를 탐지할 능력이 전혀 없다. 그럼 북 체제는 아무 것도 못하고 붕괴한다. 핵 자동발사는 그저 말 뿐이다. 무의미한 개발이고 북 혼자 하는 경쟁이다. 바보가 수령이니 북 간부들도 답답하다. ㅋ

  • 2023-06-20 07:16:46

    위성발사 실패도 쓰리겠지만 낙하잔해를 우리가 회수하고 있다는점이 참을수없는 고통이겠지. . . 다음엔 발사방향을 베이징이라 모스크바쪽으로 잡길 바란다. 그래야 실패 하더라도 낙하 잔해물 수거하기가 용이하지 않겠니. . . 책임자들 엄중문책 한다고 ? . 행여 기술자들 고사포처형 하는건 아니겠지?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1
  • 슬퍼요
    0
  • 화나요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