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대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27일 오전 서울 여의도 윤중초등학교에서 열린 여름철 냉낭비 지원 대책 당·정협의회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여당과 정부가 올해 학교당 냉방비를 2400만 원 추가 지원하기로 했다. 또 5300억 원을 시도교육청에 지원해 각급 학교 교실 3만9000실의 노후 냉방 시설을 교체하기로 했다. 여름철 폭염에 따른 ‘찜통 교실’이 우려되자 선제적 조치에 나선 것이다.
국민의힘과 정부는 27일 서울 영등포구 윤중초등학교에서 여름철 냉방 지원 당정협의회를 열고 이같은 대책을 발표했다. 먼저 당정은 학교 냉방비 지원을 늘리기로 했다. 박대출 정책위의장은 “현재 편성된 학교당 평균 전기요금은 5255만 원인데 냉방비 지원금 2400만 원을 추가로 교부해 학교당 (냉방비를) 7650만 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당정은 또 냉방시설 제대로 작동하는지 점검하고, 낡고 오래된 냉방시설을 교체할 수 있도록 5300억 원을 시도교육청에 지원하기로 했다.
기초생활수급자 등 에너지 취약계층을 위한 에너지바우처 지원액은 기존 4만 원에서 4만3000원으로 늘린다. 지난해에는 9000원이었다. 지원 대상 역시 85만7000가구에서 113만7000가구로 늘어난다.
아울러 전기 사용량을 줄인 개별 세대나 아파트 단지에 절감 정도에 따라 전기요금을 현금으로 돌려주는 ‘에너지 캐시백’ 인센티브제를 7월부터 확대한다. 박 정책위의장은 “4인 가족 기준으로 작년보다 10% 전기 사용을 절감하면 kWh당 3440원, 20%를 절감하면 8600원, 30%를 절감하면 1만2900원을 추가로 돌려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한국에너지공단이 6월 20~22일 전국 26개 주요 상권과 4개 대형 아울렛을 대상으로 ‘개문 냉방(문 열고 냉방)’ 영업 실태를 조사한 결과 총 5298개 매장 중 634곳(12%)이 문을 열어두고 영업을 하고 있었다. 또 개문 냉방 매장에서는 냉방에 필요한 전력량이 문 닫고 냉방했을 때보다 약 66% 늘었고, 냉방용을 포함한 총 전기요금은 약 3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