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구연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이 22일 오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관련 일일 브리핑에서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방침관련 브리핑하고 있다. 2023.8.22/뉴스1
정부는 오는 24일 예정된 일본의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해양 방류와 관련해 “계획상의 과학적·기술적 문제는 없는 것으로 판단했다”고 밝혔다.
박구연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은 22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각료회의에서의 방류 개시 결정 관련 사안에 대해 사전에 일본 측으로부터 전달받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1차장은 “다만 우리 정부가 오염수 방류를 찬성 또는 지지하는 것은 아님을 분명히 말씀드린다”며 “실제 방류가 조금이라도 계획과 다르게 진행된다면 이는 우리 국민의 안전과 건강을 위협하는 것으로 판단해 일본 측에 즉각 방류 중단을 요청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7월 한일정상회담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에게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관련해 △이상 상황 발생 시 대응 △현장사무소 한국인 전문가 참여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제공 △현장사무소 한국인 전문가 참여 등 3가지 사안을 요청했다.
박 1차장은 ‘이상 상황 발생 시 대응’과 관련해 “양국 규제당국 간, 외교당국 간에 신속히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이중의 핫라인을 구축하는 데에 합의했다”고 말했다.
‘현장사무소 한국인 전문가 참여’와 관련해서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제안에 따라 정기적으로 우리 측이 후쿠시마 원전 현장 사무소를 방문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박 1차장은 “IAEA가 오염수 방류 관련 최신 정보를 정기적으로 우리 정부에 공유하고, 화상회의도 정기적으로 개최해 각종 정보에 대한 종합적 설명을 듣고 질의응답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기로 했다”며 “긴급 또는 이상 상황 발생 시에도 IAEA로부터 관련 정보를 가능한 빠르게 공유받을 수 있는 연락 체계를 구축했다”고 부연했다.
‘실시간 모니터링 정보제공’과 관련해서는 “일본 측은 IAEA와 협력 하에 관련 데이터를 1시간 단위로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해당 정보를 한국어로도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일본 측은 방출 전 K4 탱크에서 측정한 69개 핵종값, 방출 전 상류수조에서 측정한 삼중수소 농도, 방출 중 해수 배관 헤더에서 측정한 삼중수소 농도 등 추가 정보를 홈페이지를 통해 공표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박 1차장은 우리 측 전문가 시찰단의 4가지 권고 사항 중 △선원항 변경 시 방사선영향평가 재실행 △실제 핵종 배출량 기반의 주민 피폭선량 평가에 대해 “일본 측은 AEA 검토 하에 적절한 방안을 마련해 나갈 예정”이라고 부연했다.
나머지 권고 사항인 △ALPS 필터(크로스 플로우 필터) 점검 주기 단축 △연 1회 ALPS 입출구 농도 측정 시 5개 핵종 추가에 대해선 “일본 측이 증설 ALPS 설비 개선 결과를 토대로 크로스 플로우 필터 점검 주기의 적절성을 논의할 예정”이라며 “ALPS 입출구 농도 측정 시 5개 핵종 추가와 병행해 양측이 기술적 협의를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