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500여명 ‘실시간 모니터링’팀 가동
IAEA로부터 방류상황 매일 전달받고
韓전문가 2주 단위 파견 ‘3중 점검’… 대통령실 “선동 아닌 과학, 국민 지켜”
대전의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사무실. 연구원 수십 명의 시선이 일제히 스크린으로 쏠렸다. 스크린엔 일본 도쿄전력이 막 공개한 방류 오염수의 삼중수소 농도 수치가 떠 있었다. 연구원들은 이 수치를 즉각 분석해 일본 측 계획과 실제 방류 상황에 차이가 있는지 점검했다. 이때가 24일 오후 2시. 일본이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 보관 중인 오염수를 처음 방류한 지 1시간여 뒤였다.
정부가 이날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동시에 가동한 ‘모니터링팀’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연구원들을 중심으로 꾸려졌다. 모니터링팀은 방류 첫날부터 도쿄전력이 1시간 단위로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는 ‘삼중수소 농도’, ‘오염수 유량’ 등 자료를 분석하기 시작했다. 일본으로부터 별도로 제공받는 ‘방류 전 오염수의 69개 핵종값’ 자료 등도 검토 대상이다.
앞서 5월 후쿠시마 현지 원전을 둘러본 시찰단원들을 포함한 50여 명이 모니터링팀의 주무를 맡게 됐다. 원자력안전기술원은 1개월간 500명 안팎인 전 직원을 동원해 24시간 오염수 방류 안전을 모니터링한다. 주말은 물론 공휴일에도 모든 직원이 주간, 야간 2교대로 방류 안전을 점검한다.
● 24시간 2교대로 모니터링
한덕수 국무총리는 오염수 방류 직후인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대국민 담화를 통해 정부의 오염수 방류 안전 모니터링 계획을 밝혔다. 우리 전문가들이 일본 도쿄전력의 공개 정보 및 외교 채널을 통해 받은 정보를 실시간 분석하고, 방류 현장에 직접 나가 있는 국제원자력기구(IAEA)로부터 방류 진행 상황 등을 매일 전달받는다는 것. 또 2주에 한 번씩 방류 현장에 있는 IAEA 사무소까지 직접 찾아 점검한다. ‘삼중 모니터링’이 이뤄진다는 의미다. 한 총리는 “일본 정부가 앞서 발표한 조치에 따라 방류한다면 한국이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IAEA와 국제 학계, 우리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면서 “(오염수의 방사능 농도가) 자연 상태에 존재하는 방사능 농도보다 미미하고, 태평양을 한 바퀴 돌아 우리나라로 들어오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원자력안전기술원 연구원과 방류 현장을 직접 점검하는 IAEA 연구원 간 핫라인도 이날부터 개통됐다. IAEA 연구원은 핫라인을 통해 매일 원자력안전기술원 연구원에 서면 형태로 방류 점검 현황 등 정보를 알리게 된다. 양 측은 매주 한 번 정례 화상회의를 진행해 질의 응답도 진행한다.
정부는 이르면 이번 주말인 26∼27일경 후쿠시마 원전 방류 현장의 IAEA 사무소로 우리 전문가들을 보낼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현장에서 일본이 계획대로 실제 방류를 진행하는지 등을 점검한다.
방류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한일은 ‘투트랙’으로 정보도 공유한다. 한일 외교 당국이 외교채널을 통해 소통하고, 동시에 일본 규제 당국인 원자력규제위원회(NRA)도 우리 측 원자력안전위원회와 정보를 공유하는 식이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IAEA가 한국 정부와 최신 정보를 공유하는 메커니즘을 가동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 “후쿠시마 수산물 수입 규제 유지”
해양수산부는 수산물 방사성물질 검사 및 우리 해역의 방사능 모니터링을 강화한다. 기존 92곳에서 하던 방사능 모니터링은 지난달 말부터 200곳으로 늘렸다. 후쿠시마 인근 공해상 8개 지점에서 방사능 조사도 매달 진행한다.
2013년 8월부터 시행된 후쿠시마와 인근 7개 현 수산물에 대한 수입 규제 조치는 그대로 유지된다. 후쿠시마와 인근 14개 현의 농산물 27개 품목에 대한 수입 금지도 마찬가지. 한 총리는 “우리 국민들께서 안심하실 때까지 현재의 수입 규제 조치를 유지할 계획”이라며 “더 이상의 염려는 불필요하다는 것을 분명히 밝힌다”고 강조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우리 국민의 건강을 지키는 것은 정치적 선동이 아니고 과학”이라고 했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이날 국회에 출석해 “국내 수산업계의 직접 피해는 없을 것”이라며 “어민들의 피해를 지원하기 위해 올해 수매, 비축, 소비 촉진 예산을 3500억 원 확보했는데, 내년에는 관련 예산을 더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