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고초려라도” 국힘, ‘수도권 위기론’에 인재 영입으로 승부수

  • 뉴스1
  • 입력 2023년 8월 31일 11시 24분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오른쪽)와 윤재옥 원내대표가 1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2023.8.17. 뉴스1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오른쪽)와 윤재옥 원내대표가 1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2023.8.17. 뉴스1
국민의힘이 8개월 앞으로 다가온 내년 4월 총선 승리를 위한 ‘인재 영입’에 시동을 걸고 나섰다.

당내에서 제기된 ‘수도권 위기론’의 해결책으로 경쟁력 있는 참신한 인물을 통해 선거에 바람을 일으키겠다는 구상이다. 사고 당협을 채우겠다며 실시한 조직강화특별위원회(조강특위)는 인재 영입을 위한 공간을 대거 마련하는 등 향후 적극적인 인재 영입을 예고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31일 전남 순천에서 열리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조강특위의 조직위원장 인명 안을 의결한다. 조강특위는 지난 29일 회의를 열고 36곳의 사고당협을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하고 10명의 조직위원장을 인선했다.

눈에 띄는 점은 조직위원장 인선 규모다. 현재 국민의힘의 사고당협은 모두 40곳이다. 이 중 4곳은 공모를 진행하지 않았으며, 공모를 진행한 36곳 중에서 10곳만 조직위원장이 임명됐다.

이는 향후 총선 공천 과정에서 인재영입을 위한 전략카드를 남겨두기 위한 조치다. 앞서 조강특위 관계자는 “보류한 곳들은 추후 (인재) 재배치하거나 인재영입을 위해 비워둔 것”이라고 말했다.

조직위원장은 선거구를 책임지는 당협위원장으로 임명돼 향후 총선 공천 경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 조직위원장 인선 최소화로 향후 인재 유치를 위한 공간을 마련한 것이다.

실제 당 지도부는 최근 ‘인재영입’을 강조하고 있다. 김기현 대표는 지난 28일 열린 연찬회에서 “총선에서 승리할 수 있는 좋은 인재라면 삼고초려가 아니라 십고초려를 해서라도 모셔야 한다”고 말했다. 윤재옥 원내대표도 “인물 전략, 선거를 치르는 과정에서 우리가 공략할 포인트 등을 조만한 수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의 적극적인 인재영입 방침은 현재 당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수도권 위기론’의 돌파구 성격이 짙다. 사고당협 40곳 가운데 수도권 지역은 서울 노원병(이준석)와 강남갑(태영호)을 비롯 서울 11곳, 경기 14곳, 인천 3곳 등으로 28곳에 달한다. 이 중 이번 공모에서 제외된 서울 노원병과 강남갑을 제외한 26곳의 수도권 사고당협 가운데 6곳만 채워진 상태다. 여전히 수도권은 20곳의 자리가 남아 있다.

새 인물을 영입해 인적쇄신은 물론 개혁 어젠다를 선점해 총선에서 우위를 점하겠다는 전략도 숨어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다만 현재 당 사정상 경쟁력 있는 인재 영입이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앞선 소수의 지역위원장만 인선한 조강특위 사례는 인재영입이 쉽지 않은 당내 상황을 보여준다는 평가가 많다. 실제 조강특위 구성을 두고 당 안팎에서 ‘인물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터져 나오기도 했다.

인재영입을 위해 비워둔 자리의 일정 부분은 윤석열 정부의 인사로 채워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 원희룡 국토교통부·박민식 국가보훈부부·한동훈 법무부 장관 등의 총선 출마설이 이어지고 있다. 대통령실의 강승규 시민사회수석, 김은혜 홍보수석, 전희경 정부1비서관, 주진우 법률비서관 등도 총선 주자로 꼽힌다. 대통령실은 오는 10월 중 개편은 단행할 것으로 보인다.

내년 총선이 윤석열 정부 성패를 가를 것으로 평가되는 만큼 정부 정책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인사들의 출마는 긍정적이란 시각이 많다. 다만 이들로 인해 인적쇄신 노력이 평가절 되거나 ‘정권 심판론’이란 역풍이 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