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호 통일부 장관이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줄리 터너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와 면담을 하고 있다. 2023.10.17/뉴스1
한국을 방문 중인 줄리 터너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는 17일 “지난주 중국에 억류된 탈북민이 북송된 것과 관련해 한국 정부와 마찬가지로 깊이 우려하고 있다”면서 “미국은 모든 정부가 강제송환 금지의 원칙을 지키기를 촉구한다”라고 말했다.
터너 특사는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김영호 통일부 장관을 만나 “국제 사회가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데 미국 정부가 크게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는 김 장관의 말에 이 같이 답했다.
터너 특사는 “북한의 인권 실상은 세계 최악의 수준”이라며 “북한의 끔찍한 인권 실상과 관련해 책임자들에게 책임을 묻는 역할과 관련해 통일부와 긴밀히 협력하기를 바란다”라고도 강조했다.
김 장관도 “한국 정부는 본인의 자유의사에 반해 강제 북송이 절대로 이뤄져서는 안된다는 점을 해당 국가에 지속적으로 강조해왔고, 동시에 한국에 오기를 희망하는 탈북민들은 전원 수용하겠다는 원칙도 설명한 바가 있다”면서 “앞으로 중국을 비롯해 제3국에 체류하고 있는 탈북민들이 자신들의 인권을 보장받고 본인이 희망하는 곳에서 안전하게 생활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 장관은 터너 특사가 취임 후 처음 한국을 방문한 데 대해선 “한미동맹이 70년 맞이하는 오늘날, 한미동맹은 자유, 인권 등 가치를 공유하는 동맹으로 발전하는 시점에 있다”면서 “터너 특사 임명을 계기로 한미가 북한인권 개선이라는 공통의 목표를 위해 더욱 더 협력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지난 13일(현지시간) 취임한 터너 특사는 전날 한국을 방문하며 사실상 첫 공식 업무를 개시했다.
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는 2004년 10월 발효된 ‘북한인권법’에 설치 근거를 둔 직책으로, 미 정부의 대북 인권정책 수립과 집행 전반에 관여한다. 터너 특사는 전날엔 박진 외교부 장관, 이신화 북한인권국제협력대사, 전영희 외교부 평화기획단장 등을 만났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