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北, 하마스와 무기-훈련 직간접 연계”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10월 18일 03시 00분


[중동전쟁]
국경지역서 北 122mm 방사포 발견
하마스 조직원 ‘F-7 로켓’도 북한제
‘패러글라이더 침투’ 전수했을 수도

최근 이스라엘 인접 국경지역에서 북한제 122mm 방사포(다연장로켓)탄이 발견됐다고 군이 17일 밝혔다. 이 포탄은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예하 무장단체나 하마스를 적극 지원하는 무장단체가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군 관계자는 이날 언론 브리핑에서 “북한이 다양한 무기를 중동국가 및 무장단체에 수출하고 있다는 정황이 지속적으로 식별되고 있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군에 따르면 발견된 방사포탄의 신관 표면엔 ‘방-122’라는 표기가 적혀 있었다. 앞서 7월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군에게서 빼앗은 북한제 122mm 포탄과 2010년 연평도 포격도발 당시 북한이 사용한 122mm 포탄에서도 같은 글자가 확인된 바 있다. 하마스 조직원이 소지한 것이 포착된 ‘F-7 로켓’ 역시 북한과 하마스 간 무기 거래 증거인 것으로 군은 보고 있다. 하마스가 이스라엘 공격에 사용한 대전차무기 F-7은 북한이 RPG-7을 수출할 때 사용하는 명칭이다.

합참 관계자는 “하마스가 북한과 무기 거래, 전술 교리, 훈련 등 여러 분야에서 직간접적으로 연계된 것으로 판단된다”며 “북한이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 공격 방법을 대남 공격에 활용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휴일 새벽 기습 공격, 대규모 로켓 발사로 아이언돔 무력화, 드론 공격으로 분리장벽에 설치된 스마트월(감시·통신·사격통제체계) 파괴 후 지해공 침투 및 공격 양상이 우리가 예상하는 북한 비대칭 공격 양상과 유사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를 고려할 때 북한의 전술교리 전수나 훈련 지원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다른 관계자는 “2016년 12월 (북한은) 김정은이 주관한 패러글라이더 등을 활용한 모의 청와대 타격훈련을 공개했는데 이런 노하우가 하마스에 전수됐을 가능성도 있다”고 평가했다.

북한은 2010년대 중반 우리 전방의 과학화경계시스템 구축이 완료됨에 따라 은밀 지상 침투가 제한된다고 판단해 패러글라이더를 이용한 공중 침투 훈련을 강화하고 있다.

군은 한미 연합 정찰감시자산의 유기적 운용을 통해 북한 이상 징후를 집중 감시할 방침이다. 또 ‘한국형 아이언돔’의 조기 전력화 및 북한 장사정포 요격 체계 등 구축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북한#하마스#무기#훈련#연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1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