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군 JSA 병력도 권총 찼다…북한 군에 맞대응

  • 뉴시스
  • 입력 2023년 12월 19일 09시 49분


유엔사 “민간민·장병 보호 위해 재무장 허가”
북, 지난달 9·19합의 파기한 뒤 JSA 병력 권총 소지

북한이 9·19 남북군사합의 파기 조치 일환으로 공동경비구역(JSA) 경비 병력을 재무장시킨 가운데, 우리 측 JSA 요원들도 이에 대응해 권총을 찬 것으로 확인됐다.

유엔사는 “현재 북한군의 무장 태세를 감안할 때, 유엔사는 JSA의 훈련된 경비대원들이 민간인과 군 장병 모두를 보호하기 위해 재무장할 수 있도록 허가했다”고 19일 밝혔다.

이어 “무장 해제된 JSA가 한반도에 더 안전하고 평화롭다는 입장과 이는 과거 유엔사와 북한군 합의사항을 이행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는 입장을 한국 정부와 북한군에 전달했다”며 “유엔사는 JSA가 대화와 (6·25전쟁) 정전협정 이행을 위한 장소로 남아 있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유엔사는 지난달 말 JSA 내 북한 측 경비 병력들이 권총을 휴대하는 등 무장에 나서자 우리 측 경비대원들에게도 권총 소지를 허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9·19 군사합의 이후 우리 군이 접경지대에서 무장을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북한 군과 짧은 거리에서 정면 대치하고 있는 JSA 지역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한 결과로 보인다.

이로써 판문각 JSA에서의 남북 양측 비무장은 지난 2018년 10월 이후 5년여 만에 완전히 깨졌다.

앞서 남북 양측은 지난 2018년 9·19합의 제2조2항을 통해 판문점 JSA를 비무장화하기로 하기로 합의했고, 그 후속조치로 2018년 10월25일 오후 1시부로 JSA 내 모든 화기·탄약 및 초소 근무를 철수한 바 있다.

하지만 북한이 지난 11월 23일 모든 군사적 조치를 회복하겠다며 사실상 9·19합의 파기를 선언한 뒤, 그 일환으로 GP 복원에 이어 북 측 JSA 병력 역시 11월 말부터 재무장에 돌입했다.

우리 정부는 북한이 지난 11월 21일 밤 10시43분 경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한 것에 대응해 같은달 22일 오후 3시부로 ‘9·19 군사합의’ 1조 3항 효력을 정지시켰다. 이후 군사분계선 일대에서 북한의 도발 징후에 대한 공중 감시·정찰활동을 복원했다.

이튿날인 23일 북한 국방성은 성명을 통해 “군사합의에 따라 중지했던 모든 군사적 조치들을 즉시 회복한다”며 9·19합의 파기를 선언했다. 이후 24일부터는 비무장지대 내 최전방경계초소(GP)를 복원하고, 비반충포 등 중화기를 반입했다. 이와 함께 초소에서 야간경계근무를 서고 있는 모습도 우리 군에 포착기도 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