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표 총선 공약 3·4·5호, 설 명절 밥상에 올려라

  • 뉴스1
  • 입력 2024년 1월 29일 16시 23분


유의동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일·가족 모두행복’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2024.1.25. 뉴스1
유의동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일·가족 모두행복’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2024.1.25. 뉴스1
국민의힘이 설 연휴를 앞두고 총선 공약을 연달아 발표하는 등 민생행보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29일 뉴스1 취재를 종합하면 당 공약개발본부는 이날 국회에서 회의를 열고 ‘모두가 함께 잘 사는 동행사회’를 만들기 위한 민생 공약을 논의했다. 이를 바탕으로 공약개발본부는 오는 30일부터 총선 공약 3호와 4호, 5호를 연달아 발표할 계획이다.

논의 테이블에는 소상공인 금융지원과 경인선 지하화를 포함한 수도권 교통격차 해소, 신혼부부 및 청년 주거문제 해결 등 다양한 안건이 올라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공약개발본부는 이중 설 명절 밥상에 오를 만한 안건들의 우선순위를 정해 차례대로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공약개발본부는 지난 25일 늘봄학교 확대와 돌봄 서비스 격차 해소를 골자로 한 총선 2호 공약을 발표했다. 지난번 발표한 1호 저출생 공약과 패키지성 공약으로 지난 1호 공약 발표 때와 마찬가지로 일과 가정이 양립할 수 있는 환경을 주제로 ‘보육 및 교육 관련 제도 개선책’을 새롭게 담았다.

공약에는 △정부 지원 돌봄서비스의 가족-민간으로 전면 확대 △늘봄학교 전면 확대 및 단계적 전면무상 시행 △늘봄학교 확대로 방학 중 초등돌봄 및 급식 문제 해결 △산업단지 등 지역에 공공형 교육·돌봄 통합시설 설치 의무화 △현금 지원 체계 재설계 및 통합관리 방식으로 단계적 전환 등이 담겼다.

지난 18일에는 1호 공약으로 ‘일·가족 모두행복’이란 이름의 저출생 공약을 발표했다. 부처 통합 정책을 총괄할 부총리급의 ‘인구부’를 신설하고 육아휴직 신청 시 자동휴직, 남성 1개월 유급 출산휴가 의무화 및 임신 중 육아휴직 사용 허용 등의 방안이 담겼다.

오는 4월 총선을 대비한 국민의힘 공약 방향성은 ‘격차 해소를 통한 공동체 회복’이다. 한 위원장이 당 공약개발본부에 격차 해소를 핵심 가치로 반영해달라고 직접 주문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공약개발본부는 ‘격차 해소’를 키워드로 지역·세대·성별을 비롯해 사회 문제 전반을 아우르는 민생 공약을 추진할 전망이다. △성별 격차 △수도권과 비수도권 격차 △대기업과 중소기업 격차 △청년과 노년 격차 △기후위기 △교육 △일자리 △소상공인 △부동산 문제 해소를 포함한 5~10개 주제가 총선 공약으로 거론된다.

한편 한 위원장은 오는 31일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를 주제로 경기도 수원을 방문한다. 수도권을 방문해 반도체 지원을 강조하는 한편 관련 정책 발표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