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 한일중? 3국 모인 정상회의 정식 명칭 차이나는 이유는

  • 뉴스1
  • 입력 2024년 5월 27일 13시 59분


ⓒ News1
ⓒ News1
한중일 정상회의 개최가 하루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익숙한 ‘한중일 정상회의’ 표현 대신 ‘한일중 정상회의’라는 표현도 혼용되고 있다. 일각에선 외교 용어에 혼선이 발생한 것 아니냐는 해석도 제기한다.

한중일 정상회의는 1999년 당시 김대중 대통령의 주도 아래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3(한중일) 정상회의를 계기로 시작했다. 그러다 2007년 아세안+3 회의에서 당시 노무현 대통령의 제안을 바탕으로 3국 합의 아래 제도화됐다.

이에 따라 제1차 한중일 정상회의는 2008년 12월 일본에서 개최됐으며 이후 3국은 ‘일본→중국→한국’ 순으로 돌아가며 의장국을 맡아 회의를 주최하고 있다.

공식 명칭은 개최 순번에 따라 첫 번째에 ‘주최국’이 나오고 그다음부턴 다음 회의 주최국의 이름을 넣는 것으로 암묵적 합의가 돼 있다고 한다. 그 때문에 올해 회의는 ‘한일중 정상회의’로 부르는 것이 맞는다고 한다.

다만 3국 모두 자국을 먼저 표기하는 게 당연시됨에 따라 중국에서는 ‘중일한’으로, 일본에서는 ‘일중한’으로 부르고 있어 순서를 굳이 따지는 것이 큰 의미는 없다는 지적도 있다.

통상 3국 외교를 부를 때 한국은 ‘한중일’을 사실상의 고유명사로 사용해 왔다. 3국 협력을 위해 서울에 설치된 기구가 ‘한중일 3국 협력사무국’(TCS)으로 명명된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다만 윤석열 정부는 이 고유명사에 별도의 가치를 부여해 일부 변경된 표현을 쓰고 있다. 한국과의 관계, 공동의 가치 등을 반영해 호명 순서를 바꾼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022년 11월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열린 아세안+3 정상회의 땐 ‘한중일’ 표현을 썼지만, 1년 뒤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개최된 아세안+3 정상회의에선 ‘한일중’이라고 바꾼 표현을 사용했다.

당시 대통령실 관계자는 ‘국가안보전략 지침서’에 일본 다음으로 중국이 표기된 점 등을 언급하며 “일반적으로 볼 때도 우리 정부에선 현재 ‘가치·자유의 연대’를 기초로 미국·일본과 보다 긴밀한 기술·정보·안보 협력이 이뤄지고 있다”라며 “그런 관점에서 ‘북미회담’보다 ‘미북회담’으로, ‘한중일’보다 ‘한일중’으로 부르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같은 해 외교부 당국자는 “‘한중일’, ‘한일중’ 다 쓸 수 있다”라며 “정부 차원에서 용어를 어떤 순서로 쓰란 명확한 지침은 없었다”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윤석열 정부에선 ‘미국→일본→중국→러시아→북한’ 순으로 외교의 ‘우선순위’를 매기고 있는 모양새다. 외교부는 익숙한 ‘북미’, ‘북러’ 등 대신 ‘미북’, ‘러북 무기 거래’ 등을 현재 공식 브리핑에서 사용하고 있다.

일각에선 정부가 용어 순서로 외교 우선순위 의미를 부여한 것을 두고 우려의 목소리를 내놓기도 한다. 정부 스스로 공간을 좁히는 ‘역효과’를 자초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반면 정부의 기조에 맞춰 용어를 바꾸는 것이 오히려 타당하다는 지적도 있다. 정부의 외교적 우선순위를 명확히 밝히고 이를 정책에 반영할 수 있음을 물론, 동맹국과의 관계도 더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차원에서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