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정원 확대에 반대하는 전공의들의 근무지 집단이탈 이후 100일 동안 전국 군 병원 응급실을 이용한 민간인 환자 수가 모두 1300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기간 500명에 육박하는 군의관이 의료공백을 막기 위해 민간병원 등에 파견된 것으로 확인됐다.
30일 국방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까지 전국 12개 군 병원 응급실에서 진료를 받은 민간인은 총 1334명(누적)이다. 전국 군 병원 응급실은 전날 전면 개방 100일째를 맞았다.
병원별로는 국군수도병원이 707명으로 가장 많았고, 대전병원 179명, 고양병원 148명, 양주병원 96명, 서울지구병원 36명이 뒤를 이었다. 또한 춘천병원 35명, 홍천병원 34명, 강릉병원 27명, 항공우주의료원 26명, 포천병원 21명, 포항병원 13명, 해군해양의료원 12명이 이용했다.
신분별로는 일반국민 814명, 군인가족 420명, 예비역 100명이 군 병원 응급실을 이용했다. 군 병원 응급실을 이용한 민간인 환자들 중엔 여러 대학병원에서 진료를 거부당한 이들도 적지 않았다.
이와 함께 군 당국은 현재 286명의 군의관을 서울지역 ‘빅5’ 등 상급종합병원과 지역 거점 국립대 병원 등 20여곳에 파견한 상태다. 이들 중엔 야전부대에서 근무하고 있는 이들도 일부 포함돼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군 당국이 지난 3월 11일 처음으로 군의관 20명을 파견한 이후 현재까지 파견된 군의관 수는 총 499명(누적)이다. 군 당국은 정부와 병원 측의 요청에 따라 가용한 여건 안에서 군의관의 파견 기간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가보훈부가 관리하는 5개 보훈병원엔 총 139명의 전공의가 근무했었으나, 현재는 11명만 근무 중이다. 이에 보훈부는 국가유공자 등에 대한 진료 공백 해소와 결원 충원을 위해 의사직 27명을 신규 채용하고 전문의 등의 당직근무를 확대했다. 진료지원 간호사 또한 추가 채용했다.
보훈부 관계자는 “정부 차원에서 비상진료체계 가동을 위해 추진 중인 진료협력병원 지정, 비대면 진료 전면 확대 등 다양한 정책에 적극 참여해 협조하고 있다”라며 “진료 차질 최소화를 위해 만전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