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기 불편한 中…“北-러 관계발전 환영” → “역내 안정 기여를”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6월 19일 18시 52분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이 19일 북한 평양의 김일성 광장에서 공식 환영식을 마친 후 기념 촬영하고 있다. 2024.06.19. 뉴시스
중국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회담을 두고 “북-러 교류가 역내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번 회담에 대해 중국 측이 이례적으로 ‘우려’로 해석될 만한 발언을 한 것이다.

19일 외교부에 따르면 전날 서울에서 열린 한중 외교안보대화에서 김홍균 외교부 1차관은 중국 측에 “푸틴 대통령의 방북이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저해하고 양측의 불법적인 군사 협력 강화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고 했다. 북-러 간 군사협력 강화에 따른 한반도 긴장 조성은 중국의 국익에도 반하는 만큼 중국 측에 건설적 역할을 당부한 것이다.

쑨웨이둥(孫衛東) 외교부 부부장(차관급)은 이에 “북-러 교류가 평화와 안정에 기여해야 한다”는 취지로 답했다는 게 외교부의 설명이다. 중국이 통상 북-러 밀착에 대해 “관계 발전을 환영한다”, “양자 문제”라는 입장을 내놓은 것과는 대조적이다.

다만 중국 외교부는 19일 정상회담에 대한 브리핑에서는 “북한과 러시아는 우호적인 이웃으로서 교류와 협력, 관계 발전을 위한 수요가 있다”고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 자칫 북-러 회담을 견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표현을 뺀 것이다. 그러면서도 ‘지지’나 ‘환영’ 대신 ‘필요’라는 단어를 쓰며 거리두기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이번 한중 외교안보대화 개최를 먼저 제안했고, 북-러 정상회담 윤곽이 잡혔을 때도 날짜 변경 등을 요구하지 않았다. 중국 지방정부 중 경제 규모가 두 번째로 큰 신창싱(信長星) 장쑤성 당서기는 북-러 정상회담이 열린 19일 방한했다.

우리 정부 안팎에서는 중국이 러시아에 노골적으로 밀착하는 북한을 향해 의도적으로 불편한 기색을 드러낸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과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북한 문제의 ‘운전자’ 역할을 했던 중국이 북-러 밀착으로 러시아에 주도권을 내줄 수 있다는 우려를 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미국은 북-러의 협력 강화를 경계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18일(현지 시간) “북한의 러시아 지원을 차단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커린 잔피에어 백악관 대변인 또한 “푸틴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달 정상회담에서 ‘한반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정치·외교적 수단’이라고 재확인했다. 푸틴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이런 메시지를 전달하기를 바란다”고 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 대통령의 재집권시 국무장관으로 기용될 가능성이 높은 로버트 오브라이언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러시아와 북한이 가깝지 않았지만 둘 다 중국과 거리를 두려 애쓰고 있기 때문에 이상한 동맹(odd alliance)을 맺었다”라고 진단했다.

#푸틴 방북#김정은#북한#러시아#중국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