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로 쏜 北미사일, 서울서도 잇달아 관측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6월 27일 03시 00분


코멘트

하얀 연기 과거보다 더 진해져
추진제 이상-러 기술 증거 추정

관악산서 포착된 北미사일 북한이 고체연료 극초음속 중장거리탄도미사일(IRBM)로 추정되는 미사일을 시험 발사한 26일 오전 서울 국기봉 인근에서 촬영된 
북한 탄도미사일의 비행운. 비행운은 대기 속을 지나는 비행체의 자취를 따라 생기는 연기 같은 구름이다. 쿠키뉴스 제공
관악산서 포착된 北미사일 북한이 고체연료 극초음속 중장거리탄도미사일(IRBM)로 추정되는 미사일을 시험 발사한 26일 오전 서울 국기봉 인근에서 촬영된 북한 탄도미사일의 비행운. 비행운은 대기 속을 지나는 비행체의 자취를 따라 생기는 연기 같은 구름이다. 쿠키뉴스 제공

26일 이른 오전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선 백령도는 물론이고 서울에서도 촬영된 특이한 영상들이 속속 올라왔다. 영상에선 비행체가 포물선 정점을 향해 상승하던 중 지그재그로 비행하다 빙글빙글 돌며 추락하는 장면까지 그대로 담겼다. 일부 누리꾼 등은 이를 두고 미확인 비행물체(UFO) 아니냐는 주장까지 나왔지만 곧 정체가 확인됐다. 이날 오전 5시 35분을 전후해 북한이 발사한, 고체연료 극초음속 중장거리 탄도미사일(IRBM)로 추정되는 미사일로 드러난 것이다.

북한 미사일 비행 장면이 이례적으로 서울 등 곳곳에서 목격된 것과 관련해 이날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이번 미사일의 경우 비행 과정에서 연기가 많이 났고 비정상 비행을 하며 비행운(대기 속을 나는 비행체의 자취를 따라 생기는 연기 같은 구름)이 많이 남아 우리 쪽에서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었던 것”이라고 했다. 미사일 발사 각도와 비행 방향이 맞아떨어지고 기상이 좋으면 서울에서도 평양에서 동쪽으로 날아가는 미사일이 충분히 관측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 이날 인터넷 커뮤니티엔 서울 동대문구, 중랑구 등에서 촬영한 미사일 영상도 올라왔다.

군 당국은 특히 이번에 유독 하얀 연기가 더 진했던 것에 주목하고 있다. 하얀 연기가 발생한 건 추진제가 불완전 연소했다는 증거이자 북한이 러시아 기술을 이전받은 증거일 수 있다. 러시아는 미사일 추력을 높이려고 고체 추진제에 ‘알레인’을 섞어 넣는데, 이럴 경우 더 하얗고 선명한 비행운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손효주 기자 hjson@donga.com
#동해#북한#미사일#서울#관측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