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석 전 대통령비서실장은 ‘두 국가론’을 수용하자는 자신의 주장을 두고 정치권의 설전이 이어지자 23일 “가치와 지향만을 남긴 채 통일을 봉인하고 두 국가 체제로 살면서 평화롭게 오고 가며 협력하자는 게 뭐 그렇게 어려운 얘기인가”라고 재차 입장을 밝혔다.
임 전 실장은 이날 페이스북에 “이상에서 현실로 전환하자. 통일을 얘기해도 좋을만큼 평화가 정착되고 교류와 협력이 일상으로 자리잡은 후에 그 때 미래 세대가 판단하자는 게 이상한가”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윤석열 정부야말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적대적 두 국가’에 정확하게 동조하고 있다”며 “양쪽 모두 상대를 공공연히 주적이라 부르고 일체의 대화없이 대립과 갈등으로만 치닫고 있으니 이를 ‘적대적 두 국가’ 상태라 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상황을 바꾸려는 전략적인 노력이 없이는 지금의 상태는 악화될 것”이라며 “윤석열 정부 임기 말쯤에는 적대적인 두 국가는 상당히 완성되어 있을 것”이라고 했다.
임 전 실장은 “민주당이 다시 집권하면 예전처럼 남북간 대화가 재개되고 비핵화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생각도 대단한 오산이다. 평화공존과 협력을 위한 프로세스는 훨씬 더 복잡해졌다”며 “상대의 변화와 한반도 주변 환경에 대해 깊고 진지한 고민이 더해져야 할 것”이라고 했다. 또 “미국 대선 후에 어느 정부가 들어서든 북미 대화가 진행되면 한국은 설 자리가 없게 될 것”이라고도 했다.
앞서 임 전 실장은 이달 19일 9·19 평양공동선언 6주년 기념식에서 “통일하지 말자”며 “(대한민국과 북한) 두 개의 국가를 수용하자”고 말했다. 그는 “비현실적인 통일 논의는 접어두자. 더 이상 당위와 관성으로 통일을 이야기하지 말자”며 ‘대한민국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한다’고 명시된 헌법 3조 삭제 또는 개정, 국가보안법 폐지·통일부 정리 등을 주장했다.
임 전 실장의 발언에 여권에서는 비판이 쏟아졌다.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는 23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이 주장은 북한 김정은이 하는 내용”이라며 “주사파 종북 주장하다가 말이 바뀌는 것이야말로 이런 분들의 실태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 대표는 “저 주장대로라면 북한 정권이 무너지면 거기에 중국이나 러시아가 동북공정식으로 북한을 차지하려 해도 우리는 구경만 해야 한다는 말”이라며 “북한이 무너질 때 중·러에 내줘도 되냐고 국민들에게 물어보라. 동북공정도 아니고 종북공정하자는 거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가 입장을 밝혀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페이스북에 “이번 임 전 비서실장의 ‘두 국가론’ 발언은 NL(민족해방) 계열 인사들의 이념적 좌표를 다시 돌아보는 계기가 됐다”며 “NL 운동권들이 ‘개과천선’했다고 믿었던 국민들은 이번 사태로 인해 큰 충격을 받았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그들이 과연 대한민국 헌법과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존중하고 있는지, 아니면 여전히 과거의 미몽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지 의문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며 “본인들이 어디에 서 있는지, 국민과 헌법 앞에서 분명히 밝힐 때가 왔다”고 말했다.
다만 민주당에서는 “개인 의견일 뿐”이라며 선 긋기에 나섰다. 민주당 김민석 수석최고위원은 22일 “북한의 ‘적대적 두 국가론’은 비판돼야 한다. 김대중 전 대통령이라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설득할지언정 동조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밝혔다.
내가 기억하기로 임종석 씨는 종북이나 주사파 활동을 한 적이 없다. 통일운동을 했을 뿐이다. 젊었을 때 임종석 씨가 했던 통일운동과 지금 주장하고 있는 한반도 2국가 평화공존 정책 채택 주장은 일관성이 있다. 남북한에 사는 우리 동포가 전쟁을 겪지 않고 평화롭고 번영하는 삶을 누리자는 것이다. 선입견과 고정관념을 버리고 냉정하게 생각해보면 남북한이 서로 인정하고 외교관계를 수립해서 서로 최혜국 대우를 하며, 각기 자기 나라의 여권을 갖고 상대국가를 자유롭게 방문하고 투자할 수 있는 관계가 된다면 바람직하지 않겠는가?
남북간은 이미 유엔 동시가입으로 서로 국가임을 인정했다. 문제는 두개 국가론의 문제가 아닌 통일 문제다. 김정은 두 국가론을 주창한 것이 아니라 통일 목표를 없애겠다는 것이다. 독재 체제 유지를 위한 행보다. 통일을 바라지 않는 것은 남북한 주민 모두의 염원에 배치되는 것이다.
2024-09-25 00:12:22
이 사람말에 왜 나라가 주목하고 답해주고 하나? 들을 가치가 1도 없지 않나? 앞으론 종석재인집단말은 지들끼리 떠들다 말게 나두시오.국민들은 알 이유가 없는 쓰레기일뿐오.
2024-09-25 00:04:21
종석아. 북 김가 초상권 30억 방송사로 부터 받았다며? 너의 정체성은 뭐냐? 북에 빨리 가거라.제발
2024-09-24 20:37:01
김민석이도 주사파니까 같은 주사파 림종석이 말을 두둔하고 있네. 북과 내통하는 반국가세력 주사파들 70명이 아직도 야당에 또아리를 틀고 틈만 나면 사기선전선동으로 사회혼란, 헌법/국가정체성을 흔들어대고 있다. 두국가라는 말이 나온 배경과 타이밍을 주시해야. 리재명 2년구형 직후에 시국전환 및 고려연방제로 가기 전 단계를 만들려고 한다. 이놈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적화통일이다. 적화통일이란 말은 못하고 국민들한테 사기쳐서 속여야하니 반대개념인 두국가를 들고 나온 것이다. 국민들 눈과 귀를 어둡게 해서 또 속여먹을려고!
댓글 86
추천 많은 댓글
2024-09-23 15:16:56
쫑석아! 이놈아! 니놈의 그 더러운 아갈빠리부터 처닫거라! 이 개차반 망나니놈아!
2024-09-23 15:32:24
내가 기억하기로 임종석 씨는 종북이나 주사파 활동을 한 적이 없다. 통일운동을 했을 뿐이다. 젊었을 때 임종석 씨가 했던 통일운동과 지금 주장하고 있는 한반도 2국가 평화공존 정책 채택 주장은 일관성이 있다. 남북한에 사는 우리 동포가 전쟁을 겪지 않고 평화롭고 번영하는 삶을 누리자는 것이다. 선입견과 고정관념을 버리고 냉정하게 생각해보면 남북한이 서로 인정하고 외교관계를 수립해서 서로 최혜국 대우를 하며, 각기 자기 나라의 여권을 갖고 상대국가를 자유롭게 방문하고 투자할 수 있는 관계가 된다면 바람직하지 않겠는가?
2024-09-23 15:50:10
고구려 신라 백제도 있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