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15일 일부 폭파한 경의선과 동해선은 각각 한반도 서쪽과 동쪽에서 남북을 잇던 대표적인 육로이자 남북 화해협력의 상징물로 여겨져왔다.
일제강점기였던 1906년 일본이 물자 수송을 위해 개통한 경의선은 서울을 출발해 파주를 거쳐 북한 개성, 평양, 신의주로 이어지는 길이 518km의 철도다. 1937년 개통된 동해선은 강원도 고성을 거쳐 함흥까지 이어지는 길이 180km 철도로, 금강산이 구간에 포함돼있다.
남북은 김대중 정부 시절이었던 2000년 첫 남북 정상회담 계기로 경의선과 동해선의 남북 구간을 연결하는 데 합의했고, 곧이어 본격적인 사업을 추진했다. 이후 경의선은 2003년 완공됐고, 2007년 5월부터는 문산부터 개성 구간에서 222회에 걸쳐 화물열차가 운행됐다. 동해선은 2005년 고성 제진부터 금강산에 이르는 구간이 연결됐다.
순조로웠던 경의선 운행은 2008년 금강산 관광객 박왕자 씨가 현지에서 피격당해 숨진 뒤로 남북 관계가 경색되면서 중단됐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는 2018년 판문점 정상회담을 계기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합의해 남북 철도를 다시 연결하고 현대화하는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하지만 이후 북한의 핵실험 등으로 대북제재가 강화된 데다 북-미 정상회담도 ‘하노이 노딜’로 끝나면서 실제 경의선 운행은 이뤄지지 못했다.
북한이 이날 경의선·동해선 일부 구간을 폭파하면서 남북 간 육로 통로는 이제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과 화살머리 고지만 남게 됐다. 다만 앞서 북한군이 지난해 말부터 JSA에서 무장하면서 이곳에서 왕래가 중단됐고, 화살머리고지 일대 육로 역시 봉쇄된 상태로 알려졌다.
앞서 2002∼2008년 김대중·노무현 정부는 경의선·동해선 북측 구간에 대한 철도·도로 및 역사를 짓는 데 필요한 자재와 공사 장비를 대여하는 방식으로 1억3290만 달러의 차관을 제공한 바 있다. 통일부는 이날 “경의선·동해선 철도·도로는 남북정상회담 이후 진행되어 온 대표적 남북협력 사업“이라며 “차관에 대한 상환 의무가 여전히 북한에 있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