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고위 당국자들이 중국에 북한의 러시아 파병 중단을 설득하도록 요구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31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미 고위 당국자에 따르면 커트 캠벨 국무부 부장관과 대니얼 크리튼브링크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차관보 등은 29일 셰펑 주미 중국대사를 만나 직접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 문제를 제기했다. 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도 파병에 대한 우려를 중국에 전달하도록 미국 각 기관에 지시했다고 한 당국자가 밝혔다.
이 고위 당국자들은 중국이 최소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거나 파병 제한 및 중단을 위한 중재에 나서길 요구하고 있다고 NYT는 전했다.
북한, 중국, 러시아가 공산주의에 뿌리를 두고 이념적으로 반미 정서를 공유하고 있어 표면적으로는 중국이 북한의 러시아 파병을 지지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중국의 입장은 아직까지 분명치 않다. 미 정보기관은 시진핑 국가주석 등 중국 최고위 지도자들의 파병에 대한 의중을 파악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미 정부는 북중러 중 가장 강대국인 중국이 북러 간 안보 협력 관계가 급속히 강화되는 것에 대해 불안해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중국은 북한의 오랜 동맹국이자 가장 강력한 경제 및 군사 파트너지만, 북러 협력은 중국이 북한에 행사하는 영향력을 러시아와도 점차 더 많이 공유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미 정부는 북한의 러시아 파병을 계기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가 대만 및 한반도 상황 등 동아시아 정세에 더 많이 관여하게 되는 것도 중국이 원치 않는다고 판단했다. 또 중국이 북한의 핵무기 개발에 대해 불안해하는 만큼 러시아가 파병의 대가로 핵·위성 기술을 북한과 공유하는지에 대해 주시할 것으로 보고 있다.
미 당국자들은 유럽과 일본, 한국 등도 북한의 러시아 파병에 대한 우려를 중국에 전달하길 바라고 있다. 다만 중국 입장에서 이 같은 우려는 뒷전일 수 있다. 시 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수년간 긴밀한 관계를 구축해 왔고, 중국은 우크라이나 전쟁 내내 러시아를 외교·경제적으로 지원해 왔기 때문이다.
미 브루킹스 연구소 중국 전문가 라이언 하스는 “북러 협력이 중국과 러시아 사이에 틈을 벌릴 기회라는 미국의 판단은 증거 없이 희망에만 근거한 것”이라며 “중국은 러시아와 관계 강화에 많은 것을 투자하고 있다. 북한의 러시아 파병은 푸틴 대통령을 지지하는 중국의 결정을 약화시키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