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발방지책·안전 진단·배상 관련 주민 의견 수렴 등 종합 대응
합참 사고 인지 시점, 소방보다 20분 늦어 ‘지각 대응’ 논란 불가피
성일종 국회 국방위원장과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이 6일 오후 경기 포천시 이동면 노곡리 포탄 사고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공동취재) 2025.3.6 뉴스1
국방부가 포천에서 발생한 KF-16 전투기 오폭 사고 대응을 위해 통합 사고대책본부를 운영한다. 군은 대책본부를 통해 구체적인 사고 경위와 재발방지책, 주민 피해 배상 방안 등을 마련해 오는 10일에 발표할 예정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7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이 대책본부의 본부장을 맡는다며 이같이 말했다. 대책본부는 전날 발족한 공군의 사고대책위원회와 육군의 현장통제지원본부 기능을 모두 흡수해 운영된다.
현재 군 당국은 인근 부대 장병들을 투입해 잔해를 수거하고 피해 주택을 정리하는 등 현장 조치를 시행하고 있으며, 경기도와 통합 안전진단팀을 구성해서 이날부터 운영 예정이다.
신체·재산 피해 보상과 관련해서도 국방부는 오늘부터 공군 법무팀 등과 현장대응팀을 구성해 관련 법률 지식을 주민들에게 전달하고 의견을 청취할 예정이다.
국방부는 6일 오후와 7일 오전 이뤄진 두 차례의 대책회의를 통해 이같은 결정을 내렸다고 설명했다. 앞서 김 직무대행은 국회 국방위원회 위원들과 현장을 찾아 주민들에게 사과의 뜻을 전달했으며, 오늘도 사과 및 재발방지 대책을 약속하는 추가 입장문을 발표헀다.
6일 경기 포천시 이동면 노곡리에서 공군 전투기 폭탄 오발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폭탄 충격으로 식당 창문이 깨져 있다. 2025.3.6 뉴스1 국방부와 군 당국이 파악한 바에 따르면 이번 오폭 사고로 인한 부상자는 현재까지 총 29명이다. 민간인이 15명, 군인이 14명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이 중 중상자는 지역 주민 2명으로, 각각 의정부성모병원과 국군수도병원으로 이송됐다”라고 말했다.
중상자 중 한 명은 어깨 골절, 한 명은 목에 파편으로 인한 상처를 입었으며, 수술 후 중환자실에서 집중 치료를 받고 있다고 이 관계자는 전했다.
부상자가 전날 집계된 15명에서 29명으로 2배 가까이 늘어난 부분에 대해 국방부는 이명이나 두통, 복통, 불안증세를 호소한 사람들까지 포함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 중 20명은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귀가해 현재 9명(민간인 7명·군인 2명)이 환자로 관리 중이다.
한미 통합화력 실사격 훈련이 실시된 6일 경기 포천시 이동면 노곡리의 한 민가에 공군 공대지 폭탄이 떨어져 유리창이 깨져 있다. 2025.3.6/뉴스1 군 당국이 오폭 사고의 첫 보고를 받은 시점은 사고 발생 시점보다 20분 늦은 것으로 확인돼 ‘늑장 대응’ 논란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합참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고속상황 전파체계를 통해 육군으로부터 합참으로 첫 보고가 들어온 시각은 6일 오전 10시 24분”이라고 말했다. 군과 소방이 파악한 사고 발생 시간은 오전 10시 4분이었다.
이 관계자는 “합참의장에게 보고가 올라간 시간은 10시 40분”이라며 “지상작전사령관이 비화폰으로 ‘비상 폭발’이 있었고, 이는 ‘화력 훈련 간 낙탄’으로 추정된다고 보고했다”라고 설명했다. 합참의장은 이 보고를 받을 때 화력 훈련을 참관 중이었고, 보고를 받은 즉시 지휘통제실로 복귀했다고 이 관계자는 부연했다.
아울러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대행에게 보고가 올라간 시간은 오전 10시 43분쯤이라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다.
군은 전날 사고 발생 100여분 후에 사고 사실을 언론에 공지했다. 그 때문에 군이 ‘늑장 대응’을 했거나 관련 사실을 은폐하려고 한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도 제기됐다.
이 관계자는 대국민 공지가 지연된 이유에 대해 “당시 낙탄 사고와 별개로 여러 훈련이 종합적으로 이뤄지고 있었고, 공군이 사용한 탄이 맞는지 여부도 정확한 확인이 필요했다”며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어 공지가 다소 늦어졌다”라고 해명했다.
국방부와 군 당국은 오는 10일 정확한 사고 원인 및 피해 배상 개요에 대해 발표한다. 앞서 국방부는 사고 원인을 두 대가 짝을 이뤄 실시한 훈련에 투입된 KF-16 ‘1번기’ 전투기 조종사의 좌표 입력 오류라고 밝혔는데, 같이 폭탄을 비정상 투하한 ‘2번기’ 전투기의 과실 수준 및 사건 개요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정리해 사고 원인 및 대책을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