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서울대와 연세대의 이공계 대학 신입생 등록률이 높아진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최근 이공계 기피 현상에 대한
《‘이공계 위기’가 사회적 화두로 떠올랐다. 우수 인력의 이공계 기피가 과학기술 경쟁력을 떨어뜨려 한국경제
▼세포신호전달체계 권위자 美국립보건원 이서구 박사▼ “한줌 흙에도 수많은 박테리아가 있는데 이 중 하나만
지난달 31일 오후 10시경 서울대 관악캠퍼스. 방학 중 토요일인 탓인지 학교는 인적마저 끊겨 깊은 어둠 속에 잠겨
처음 만났을 때 그가 내민 것은 엄지손톱만 한 얇은 종이였다. 타다 남은 재 부스러기처럼 보였다. 연구 성과물치고는
“요즘 수험생들은 떼 쓸 때 ‘공대에 가겠다’고 하면 부모가 놀라서 무조건 항복한다더군요. 하지만 아무리 기피
나이 사십을 바라보는 ‘아줌마’가 창업전선에 뛰어든다면? 쉽사리 성공을 점치기 어려운 게 한국의 현실이다.
《첨단기술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기업이 되려면 제품을 잘 만드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자사의 제품과 기술을
전자통신연구원, 화학연구원 등 국무조정실 산하 19개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소(정출연)가 60여개 ‘미래핵심연구
동원증권 박정현(朴丁炫·32) 대리가 화학과를 졸업한 뒤 미국에서 경영학을 공부하겠다고 했을 때 교수들이 극구 말렸
젊은이들은 일자리가 없어 발을 구르고 기업들은 필요한 기술인재를 구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업난과 인
한국의 이공계 위기를 거론할 때 자주 등장하는 두 가지 지표는? 우수 인력이 이공계를 기피하고 의대로 몰린다는
올해 하반기부터 공기업은 의무적으로 일정 규모의 이공계 인력을 채용해야 한다. 또 노벨상 수상을 겨냥해 기초과학
《이공계 기피 현상이 한국 사회의 화두가 됐다. 이공계는 힘들고 불안하다는 인식 탓에 우수 인력이 찾지 않고 있다.
전체 이공계 대학생의 50% 이상에 대해 장학금 지급, 무이자 융자, 연구비 지원 등으로 재학 기간 학비를 면제해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