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와 한국소비자연맹이 진행한 ‘대형마트 3사의 파격 할인 상품’에 대한 조사 결과는 파격 할인을 기대한 소비자의 기대에 못 미쳤다. 30개 조사 품목 중 11개 상품의 설날 이후 가격이 설날 행사 기간 때의 가격과 같거나 오히려 내렸다. 3개 중 1개는 할인이 아니었다는 뜻이다.…
동아일보가 ‘문화가 있는 날’ 시행 1주년을 맞아 지난달 24일부터 나흘간 국공립 공연장 및 민간 공연기획사 관계자와 평론가, 교수 등 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10명 중 약 7명(67.4%)은 “현 정부가 끝나는 3년 뒤에는 없어질 것”이라고 응답했다. 문화가 …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가 있는 날’ 시행 이후 국민 생활 속 문화향유 기회가 확대됐다”고 자평했다. 문체부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월 ‘문화가 있는 날’ 참여기관은 883곳이었지만 올 2월에는 1475곳으로 59.8%가 늘어났다. 또 문체부는 “지속적인 홍보 등으로 대국민 인지도…
세계 공연의 메카인 영국 웨스트엔드에서는 매년 8월의 한 주에 ‘키즈 위크(Kids Week)’ 행사가 열린다. 부모와 같이 온 자녀는 무료여서 이 기간엔 아이 손을 잡고 공연장을 찾는 사람이 많다. 뮤지컬 평론가인 원종원 순천향대 교수는 “키즈 위크에는 공연 티켓뿐 아니라 숙박 및 …
‘지킬 앤 하이드’, ‘노트르담 드 파리’ 내한공연, ‘로빈훗’, ‘팬텀’, ‘라카지’. 공연 예매 사이트인 인터파크가 2월 한 달간 집계한 뮤지컬 티켓 예매 순위 1∼5위를 차지한 작품들이다. 이 가운데 문화가 있는 날에 참여하는 작품은? 단 한 편도 없다. ‘문화가 있는…
지방의 문화 관계자들은 하나같이 “현재의 ‘문화가 있는 날’은 서울 등 대도시 위주의 정책”이라며 “공연 콘텐츠, 시설, 인력, 자금 등이 열악한 지방에서 서울과 같은 방식으로 문화가 있는 날에 참여하기 힘들다”고 입을 모았다. 지방에서 가장 문제로 삼은 건 문화가 있는 날이 지…
‘문화가 있는 날’이었던 지난달 25일 오후 7시 광주의 한 종합문화예술회관 공연장. 문화가 있는 날 홈페이지에서 영화 ‘수상한 그녀’를 상영한다고 예고한 곳이었다. 하지만 정작 공연장을 찾았을 때는 한 어린이집 원생들의 재롱잔치가 한창이었다. 공연장 출입문에는 안내문 한 장이 붙…
한국의 원자력 안전기술은 2010년 세계 최고 수준보다 4.7년 뒤처져 있었지만 2년 뒤인 2012년에는 이 격차가 7.8년으로 벌어졌다. 정부가 원자력 연구개발(R&D) 예산을 2010년 2824억 원에서 2012년 3580억 원으로 27% 늘렸지만 기술력 차이가 더 커진 것…
중소기업인 코나드는 도장을 찍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손톱에 장식용 매니큐어를 손쉽게 입힐 수 있는 ‘스탬핑 네일아트 키트’를 생산한다. 중소기업청은 이 제품이 손톱 갈라짐을 방지하는 성분까지 함유하고 있는 우수한 발명품이라고 평가했다. 코나드의 직원 25%는 신제품과 신기술 개발을 하는…
에너지기술연구원은 2011년 3월부터 지난해 2월까지 9억 원의 국가 연구개발(R&D) 사업비를 받아 발전소나 공장 굴뚝에서 나오는 흰 연기를 줄이는 기술을 연구했다. 이 기술을 개발하려면 각 사업장의 굴뚝에 연기 저감장치를 설치해 연기가 줄어드는 정도를 반복적으로 측정해야 한…
박근혜 정부는 지난해 예산에서 ‘그린카’ 연구개발(R&D) 신규 지원을 제외했다. ‘저탄소 녹색성장’을 강조한 이명박 정부가 2020년까지 세계 4대 전기자동차 강국을 만들겠다며 공들인 R&D 사업이지만 새 정권이 들어서자 사업이 쪼그라들었다. R&D 정책이…
1992년 프랑스와 고속열차 테제베(TGV) 도입 계약을 맺은 정부는 발 빠르게 고속열차의 독자 기술 확보에 나섰다. 고속열차에 관한 기반 기술이 없어 외국 제품을 도입하긴 해도 빠른 시일 내에 국산화에 성공해 국내시장은 물론이고 해외시장 진출까지 노린다는 복안이었다. 1996년…
2010년부터 2014년 8월까지 발생한 군내 성폭력 피해자 183명 중 여군 하사가 109명(59.5%)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이 대위(20명), 중사(13명), 중위(12명) 순으로 조사됐다. 성범죄 피해자 10명 중 6명 이상이 중사 이하 여성 부사관인 셈이다. 상명하복이…
여군 대상 군내 성범죄가 근절되지 않는 주된 이유로 군 사법제도의 폐해가 지목된다. 일반장교가 재판장으로 참여하는 ‘심판관 제도’와 부대장 재량으로 선고 형량을 감경해 주는 ‘관할관 확인제도’ 등이 성범죄 가해자에 대한 ‘솜방망이 처벌’을 조장한다는 얘기다. 처벌이 무르니 성범죄가…
창군 이래 처음으로 국방부가 전체 여군을 대상으로 성범죄 피해 특별 신고를 접수한 결과 신고 건수가 단 3건에 불과한 것으로 18일 확인됐다. 육군 17사단장의 여군 부사관 성추행 사건을 계기로 10월 초 군 당국이 성범죄를 ‘이적 행위’로 규정하고, 척결을 공언했지만 인사 불이익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