戰爭은 승자에게도 패자에게도 돌이킬 수 없는 슬픔을 남긴다. 하지만 오늘날에도 戰爭은 평화나 민주수호, 해방
間隙(간극)이나 間隔(간격)에서처럼 隙과 隔은 각기 ‘틈’이나 ‘사이’를 뜻한다. 隙이나 隔 모두 阜가 의미부여
후베이(湖北)성 武漢(무한)에 가면 屈原(굴원)의 기념관이 있다. 전국시대 초나라를 살았던 굴원은 忠諫(충간)을 아
遷의 금문 자형은 지금과는 조금 달리 표현되었다. 왼쪽은 얼금얼금한 광주리 같은 것을 네 손으로 마주 든(여·여) 모
解弛라는 말은 아무리 경계해도 지나침이 없는 말이다. 어느 위치, 어느 분야를 막론하고 자신의 자리에서 긴장을
‘마이크로 소프트(Micro soft)’사를 중국어로는 ‘웨이롼(微軟)’ 公司(공사)라고 한다. ‘마이크로(micro)'를 미세하
주한 미군의 撤軍 논쟁이 우리 사회를 뜨겁게 만들고 있다. 撤軍이란 ‘군대(軍)를 거두어들이다(撤)’는 뜻인데, 한국
藝術을 자원으로 정직하게 풀면 ‘나무심기(藝) 기술(術)’이다. 藝는 지금의 자형이 되기까지 복잡한 변형을 거쳤
境과 鏡은 모두 竟으로 구성되었지만 竟의 기능과 결합 과정은 사뭇 다르다. 竟은 갑골문에서도 지금처럼 音과 人(사
6월 5일은 環境의 날이다. 우리를 ‘고리처럼(環) 둘러싸고 있는 주위 여건(境)’이 環境이다. 環은 玉(구슬 옥)과 f으로
熱과 熟은 지금은 비슷한 자형이지만 역사적으로는 전혀 다른 자원을 가진다. 熱은 갑골문에서 손에 횃불을 들고
5월31일 오늘은 바다의 날이다. 바다를 한자로 옮기면 海洋이 될 것인데, 海와 洋은 사실 다른 개념이었다. 일반적으로
‘풀다’는 뜻을 가진 釋은 의미부인 변과 소리부인 역으로 구성되었다. 변은 갑골문(왼쪽 그림)에서 들짐승의 발
‘풀다’는 뜻을 가진 釋은 의미부인 변과 소리부인 역으로 구성되었다. 변은 갑골문(왼쪽 그림)에서 들짐승의 발자국
다리를 뜻하는 橋는 木(나무 목)과 喬로 이루어졌는데, 喬는 소리부도 겸한다. 喬는 금문에서 止(발지)와 高(높을 고)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