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사를 자국사에 귀속하려는 중국, 독도를 분쟁지역화하려는 시도를 멈추지 않는 일본 등 양국의 패권주의적
《작은 섬들과 암초, 산호초들로 구성된 남중국해의 난사(南沙)군도(스프래틀리 군도).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던 이
《지구촌 곳곳에 영토분쟁의 현장이 있다. 언제 폭발할지 모르는 활화산 같은 곳이다. 그곳엔 대개 근·현대사의 깊은
《중국 관영 신화통신의 자매지인 국제선구도보(國際先驅導報)는 7월15일 “한국이 중국의 동의 없이 서해 대륙붕에
《‘동해에 떠있는 독도’인가 ‘일본해에 떠있는 다케시마(竹島)’인가. 동해냐 일본해냐 하는 문제는 일본의 독
“명명백백한 자국의 영토도 주장하지 않는 자에게는 돌아오지 않는다. 우리의 영토가 확실한 독도를 일본이 제
《1948년 6월. 독도에서 미역을 따던 어민 수 십 명이 미군 폭격기의 폭격으로 숨졌다. 서도의 물골 근처에는 지금도
《울릉도에서 500t급 해양경찰 함정에 올라 뱃길을 달린 지 3시간여. 검푸른 수평선 너머로 섬 하나가 삐죽이 솟아올
《“‘총각’이 한국말이라고요?” “아니 ‘지게’도 한국말이에요?” ‘쓰총’(쓰시마 총각) ‘삿총’(삿포로 총
《“통한다!” 대마도 최북단 와니우라 해안의 한국전망대에 오르면 부산이 손에 잡힐 듯 보인다. 해질녘이면 부산의
《강이라고 부르기 민망할 정도로 좁은 개울 건너편에 널찍한 논과 수십 채의 초가집이 있다. 논일을 하면서 이마의
《“조선(북한) 배를 만나면 한국말은 절대 하지 말고 중국 군인인 척 하라.” 해상 치안을 담당하는 중국 관리가
●북-중 조약은 통일 후에도 유효한가 통일한국 승계 안하면 구속력 없어 북한과 중국이 1962년에 맺은 것
《블라디보스토크 남쪽의 항구 슬라비얀카에서 하산으로 가는 120km 구간은 집도 사람도 눈에 띄지 않는 무인지경
《북한-중국-러시아의 국경이 접하는 러시아 최남단 도시 하산. 낯선 동양인이 역에 내리자 국경수비대원들이 사무실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