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은 知, 仁, 勇을 三達德(삼달덕)이라고 했다. 인간에게 보편적인 세 가지 덕이라는 말이다. ‘논어’ ‘子
김정희는 1844년에 제주도 유배지에서 ‘논어’ ‘子罕(자한)’편의 이 글에 담긴 뜻을 ‘세한도’로 그려내고
인문학적으로 본 테크놀로지… 내일 ‘인터페이스’ 학술대회 영국의 인류학자 그레고리 베이트슨은 1972년에 펴
‘논어’ ‘子罕(자한)’편의 이 章(장)은 인간의 志를 강조했다. 志는 흔히 뜻이라고 번역하는데 본래는 마음이 어
중국에서 새 세대가 부상하는 현상을 두고 “장강의 뒷물이 앞물을 밀어내듯, 새 시대 사람이 옛 사람을 바꾼다(
‘상서’ 즉 ‘서경’의 ‘旅獒(여오)’편에 보면 주나라 소공(召公)이 무왕(武王)에게 “소절(小節)을 삼가지 않
가슴이 뭉클하다. ‘논어’ ‘子罕(자한)’편의 이 章을 읽으면 냇가에서 사색에 잠긴 魯수(노수·노나라 노인 공자
공자는 일상생활의 지극히 쉽고 가까운 도리라 해도 放過(방과)하는 일이 없었다. 그러면서도 그것을 능하다고 자부
공자는 중국의 혼란스러운 모습을 보고 傷心하여 九夷 땅에 가서 살고자 했다. 누군가가 그곳은 중국과 문화가 달라 누
조선 유학자들의 임종기록 오용원 교수 ‘考終일기’ 분석 “서리(書吏)가 선생에게 ‘임금께서 약을 내리
‘논어’ ‘子罕(자한)’편의 이 章은 出處行藏(출처행장)에 관한 공자의 태도를 잘 말해준다. 출처행장은 나아
“자연과학 위주 ‘통섭’ 되레 소통 부정” “과학도 모르면서 기술윤리 다뤄서야” “유행처럼 번지는 ‘통섭
지난 호(645)에 이어 안연(顔淵)이 스승의 도덕과 학문을 흠모해서 한 말이다. 공자의 가르침은 博文約禮(박문약례)이
顔淵(안연)이 스승 공자의 도덕과 학문을 흠모해서 한 말이다. ‘논어’ ‘子罕(자한)’편에 나온다. 안연은 존경의